<사설>물가.소비.적자 경계하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최근 발표된 각종 경제통계를 보면 우리 경제체질의 취약성이 더욱 심화되는 조짐을 드러내고 있다.7월중 산업생산은 前月比 4.5%감소,전년동월비 7%성장에 그쳐 다소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노사분규로 인한 생산차질과 暴炎에 따른 조업단축등을 감안할 때 일시적 둔화로 보는 것이 온당할 듯싶다.
특히 투자의 선행지표인 기계류 수입허가액과 국내기계 수주는 각각 전년동월비 1백34.3,85.5%의 높은 증가율을 보이고있어 경기활황세가 지속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문제는 물가와 국제수지의 악화,이에 따른 우리경제의 체질약화다.소비자 물가는 8월에만 0.8%가 올라 이미 연간 억제목표로 잡았던 6%에 달했다.8월의 높은 물가상승은 가뭄과 폭염에따른 농산물가격의 폭등이란 일시적 요인 탓으로 돌릴 수 있지만소비수요의 급증이 구조적인 물가오름세로 연결될 가능성을 갖고 있다는 점이 문제다.하반기들면서 소비증가세가 생산증가세를 추월하는 양상을 나타내는 것은 경기活況에 따른 총수요압력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뜻한다.
소비재 수입도 급증하고 있다.8월중 수입증가율이 3년만에 처음으로 30%대에 들어섰고,무역수지 적자가 계속 확대되는 것은경기상승에 따른 원자재.자본재의 수입확대 뿐 아니라 소비재 수입의 급증이 크게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소비 수요의 증가,물가불안의 가속화,수입급증의 구도가방치될 경우 성장은 거품화되고 우리 경제는 또 한번의 악순환 과정에 빠져들 우려가 크다.그런 체질로는 우리 경제의 효율성,경쟁력을 높일 수 없다.세마리의 토끼를 다 잡겠 다는 과잉의욕보다는 우리경제의 구조적 안정이라는 보다 분명한 목표설정과 이를 위한 정책 집행이 필요하다.
가격인하 종용이나 행정지도 같은 방법으로 올 한해 물가지수를낮춰보겠다는 식의 발상은 옳지 않다.그보다는 재정.통화,환율정책등에서 경제안정을 최우선하겠다는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분명히하고 이를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이 인플레심리를 잠재우고 우리 경제의 체질을 강화하는 가장 유효한 수단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