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환경보호 실태(우리 환경을 살리자:24)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쓰레기/복합자원 재활용/소각 폐열 난방에 이용/찌꺼기는 건축 골재로/지하하수처리장 위엔 운동장 조성… 시각공해 없애
쓰레기소각장이나 하수처리장도 복합화를 추구하고 있다. 협오시설이라고 하지만 아무리 둘러보아도 도대체 어디에 있는지 눈에 보이지 조차 않는다. 지역이기주의에 따른 소위 님비(NIMBY) 현상속에 일본·프랑스 등 선진국에서는 폐기물·폐하수처리장이 무공해·복합화는 물론 아예 주민들의 시각공해까지 고려해 세워진다.
프랑스 낭트시의 민영 쓰레기처리장에서는 소각·재활용·폐열이용 등이 종합적으로 이뤄진다.
종합 폐기물처리회사인 오리온그룹에서 3월부터 가동을 시작한 이 처리장은 연 18만t의 쓰레기를 소각하며 이 과정에서 얻어지는 폐열은 증기로 만들어 시민들에게 난방용으로 공급하고 있다.
폐열의 일부는 전력으로 전환해 인근 공장단지에 공급한다.
쓰레기의 분류장치를 통해 폐지·플라스틱·병은 따로 묶어 재생용품센터에 넘기고 음식물과 건초·나무 등 쓰레기는 열처리를 통해 벽난로용 연료를 만들어 판다.
그리고 나머지 슬러지는 고형화공장으로 보내 벽돌이나 건축 및 도로용 골재로 만든다.
○모든 처리 종합화
결국 쓰레기는 쓰레기가 아닌 자원이자 원료다.
최대한 자원화해 이용할만큼 이용한 다음 쓰레기 자체마저 없애버리는 것으로 매립지도 필요가 없다.
이 회사 프레데릭 프와이에씨는 『시로부터 쓰레기처리 비용을 받는데다 각종 자원화가 이뤄지므로 수익성은 높은 편』이라며 『20년 기부채납 조건이므로 그 사이에 충분히 채산을 맞출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일본 동경도 스기나미구의 쓰레기소각장도 소각과 함께 폐열생산이 이뤄지는 복합처리공장이다.
그러나 소각장이 위치한 지상에는 수천그루의 나무숲과 정원,그리고 노인복지관만 눈에 보일 뿐이다.
길다란 굴뚝이 없다면 과연 이곳에 쓰레기소각장이 있는지 의아심이 들 정도다.
○수천그루 나무숲
이 소각장도 건설당시 매연공해를 비롯,소음·악취 공해를 우려한 주민들의 반발로 10여년에 걸친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84년에야 착공됐다.
건설당시 주민들과의 약속은 「무공해에 눈에 보이지도,들리지도,냄새가 나지도 않을 것」이었다.
이에따라 쓰레기를 수송하는 트럭들도 지하차도를 이용해 출입하며,소각공정중에는 악취연소 과정이 추가된 것이다. 매연속 질소산화물은 알칼리물로 중화처리하고,먼지는 전기집진장치 등으로 완전히 제거하며,주민감시위원회에서는 매주 유독물질이나 중금속 배출여부 등을 정기적으로 측정한다.
주민편익 차원에서 사시사철 온수가 공급되는 풀을 겸비한 노인복지시설도 갖추었다.
결과적으로 주민친화적이며 환경적으로는 「99% 무공해」라고 처리장측은 주장하고 있다.
프랑스 마르세유시의 하수처리장은 시립공설운동장 지하에 있다.
이 하수처리장 역시 『마르세유의 풍경과 환경을 해칠 우려가 크다』는 지적에 따라 아예 지하건설을 추진한 것.
○주민감시도 엄격
상수도 정수장을 방불케할 정도의 고도정화처리를 하는 바람에 공장내부는 소음이 적지 않지만 공장위 4백m 트랙에서는 시민들이 달리기·넓이뛰기 등을 즐기고 있다.
하수처리장의 가장 큰 골칫거리는 악취.
이를 처리하기 위해 처리장측은 산속에 터널을 뚫어 9㎞나 떨어진 지중해변까지 관로를 매설,송풍기를 이용해 악취를 뽑아내고 있다.
우리나라는 올해 24개소의 소각장을 설치하고 4대강 살리기의 일환으로 하수처리장을 집중 건설한다는 계획이지만 쓰레기 소각장의 경우 서울 노원구 상계동을 비롯해 곳곳에서 주민반대에 부닥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선진국의 쓰레기처리장이나 하수처리장처럼 환경친화적·주민친화적으로 건설된다면 커다란 반대는 없을 것이며,환경정책의 추진도 차질을 빚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이들 환경기초시설의 신·증설 때는 비슷한 처리기능을 한데 모아 복합화를 이룰때 애써 확보한 부지의 효율적 이용과 비용절감의 일석이조 효과를 거둘 수 있다.<박종권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