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정부 '반도체 특별팀' 가동…산업체 전문가도 교수로 초빙한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교육부가 반도체 특강에 직원 전원을 참석시키고 '특별미션팀'을 꾸리는 등 윤석열 대통령의 반도체 인재 양성 주문에 바쁘게 대응을 이어갔다. 교육부는 반도체 산업 분야별, 수준별 인력 수요를 파악해 다음 달 중 양성 방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교육부는 15일 오후 세종청사에서 민관 합동 '반도체 등 첨단산업 인재 양성 특별팀' 첫 회의를 개최하고 인력양성 정책 추진에 나선다고 밝혔다. 장상윤 교육부 차관을 팀장으로 하는 특별팀에는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와 한국반도체산업협회, 반도체 기업 등이 참여한다.

15일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반도체 인재양성 특별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장상윤 교육부 차관이 반도체 인재양성 특별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반도체 분야별·급별 수요 파악하고 규제 완화

정부는 반도체 분야별, 급별로 어떤 인력이 얼마나 부족한지 분석하기로 했다. 반도체 산업에는 특성화고부터 전문대, 학부, 석사, 박사, 박사후연구원 등 여러 단계별 인력이 필요한 만큼 일단 여러 부처가 함께 수요를 파악하겠다는 계획이다.

교육부는 반도체 계약학과에 관한 규제를 완화할 예정이다. 반도체 계약학과 파트너 기업이 직원을 재교육시키는 경우 인근 대학에서만 하도록 한 권역 제한을 완화하는 방안, 산업체 전문인력이 학교에서 교원으로 일한 후 다시 산업계로 자유롭게 복귀하는 방안 등이 검토된다. 입학 정원의 20%까지만 정원 외로 뽑을 수 있는 계약학과의 정원 제한을 50%까지 늘리는 방안, 반도체학과 복수전공·부전공자를 늘리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교육부는 7월 중 반도체 등 첨단분야 인재양성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는 계획이다.

1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발제자인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반도체 산업의 동향과 반도체 인재 수요' 란 주재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15일 오전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교육부에서 발제자인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가 '반도체 산업의 동향과 반도체 인재 수요' 란 주재로 강연하고 있다. [연합뉴스]

"석·박사 5565명 부족…교수 달랑 10명"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는 '반도체 산업 생태계와 인재 수요' 특강도 열렸다. 교육부는 전 직원이 특강에 참여하도록 했다. 특강에서 전문가들은 반도체 학과 정원 확대가 능사가 아니라고 입을 모았다. 정원 확대보다 교수·시설 확충이 시급하다는 것이다.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는 이날 발제문을 통해 국내 반도체 산업의 석·박사는 2023년부터 2032년까지 5565명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했다. 황 교수는 전국 반도체 연구 교수는 400∼500명에 불과하며, 서울대 공대만 따져도 교수 약 330명 중에 반도체를 주력으로 연구하는 교수는 10여 명에 불과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한동석 경북대 전자공학부 교수는 "SK하이닉스 2년 차 직원 월급이 교수보다 많은데 누가 학교에 오겠냐"며 "교수 충원과 시설 증설에 투자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경북대는 전자공학 특성화 대학으로 지정돼 사정이 나은 편인데도 한 교실에 70명에서 많게는 100명의 학생이 들어간다"며 "실무뿐만 아니라 기초교과목에서도 장비·시설·교수가 턱없이 부족하다"고 했다.

반도체를 전공하는 학생들도 특강에 참여해 목소리를 냈다. 오승준 경북대 전자공학부 학생은 "반도체 트랙을 선택한 학부생 중 인원 제한에 걸려 필수 과목도 못 듣는 학생이 있다"며 "교수도 부족하고 실습 시수도 제한적"이라고 했다. 서울대학교 전기정보공학부에서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박솔아씨는 "반도체 연구실 교수 한명이 맡은 학생 수가 너무 많아 세밀한 지도가 어렵다"며 "석사 단계에서부터는 어떤 교수를 만나느냐가 중요한데 교수진이 부족하니 해외로 가고 싶어 하는 학생도 많다"고 했다.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가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반도체 산업 생태계 학습을 위한 교육부 포럼에서 메모리 시장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뉴스1]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가 1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반도체 산업 생태계 학습을 위한 교육부 포럼에서 메모리 시장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뉴스1]

"서울대조차 27년 고물 장비에 학생 100명" 

기업과 대학이 취업을 전제로 만드는 계약학과에 대한 우려도 나왔다. 황철성 교수는 "이미 있는 학과도 교수와 설비가 부족한데 계약학과를 늘리는 건 의미가 없다"며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에서도 27년 된 고물 장비에 학생 100명이 매달려 있을 정도로 상황이 열악하다"고 했다.

이어 한동석 교수는 "반도체 계약학과 커리큘럼이 일반 전자공학부 커리큘럼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전자공학부에도 반도체 설계, 컴퓨터 등 세부 트랙이 갖춰져 있는 만큼 기존에 있는 대학 커리큘럼을 기업과 협의해 고쳐 쓰는 방식, 새로 학과를 만들지 않고 기존 학과를 강화하는 방식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