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배터리만 편애하나”…디스플레이 홀대론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시장에서 ‘디스플레이 홀대론’이 확산하고 있다. 정부와 국회의 정책 지원에서 디스플레이 산업이 외면받고 있다는 주장이다.

27일 한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중앙일보와 만나 “정부의 정책·예산 지원이 반도체에만 쏠려 있다는 불만이 업계에 팽배하다”며 “한국의 핵심 산업이자 수출 견인차 중 하나인 디스플레이 소외론은 하루이틀 얘기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 · 중 중소형 OLED 시장 점유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한 · 중 중소형 OLED 시장 점유율.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실제 지난 1월 국회를 통과한 국가첨단전략산업 특별법에 디스플레이 산업 지원은 포함되지 않았다. 특별법에는 반도체·2차전지·백신 등 전략산업을 키우기 위해 투자와 연구개발(R&D), 인력 육성 등을 전방위로 지원하는 내용이 담겼다. R&D 투자 중 최대 50%를 세액공제해주는 기술에도 디스플레이는 빠졌다.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마련 중인 ‘미래 먹거리 산업 신성장 전략’에는 디스플레이가 포함됐지만, 소재·부품·장비(소부장) 자립화에 무게가 실렸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디스플레이는 한국을 먹여 살리는 주요 산업 중 하나다. 2020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4%였다. 지난해 디스플레이 수출액은 225억 달러(약 28조2000억원)로 전체 수출의 3.3%를 차지했다.

하지만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은 기로에 서 있다. 중국의 저가 공세에 지난해 기준 1127억 달러(약 142조3400억원) 규모인 액정표시장치(LCD) 시장에선 사실상 ‘백기’를 들었고,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에서도 중국의 추격이 매섭다.

김용석 홍익대 교수는 “OLED 산업의 초격차 유지를 위해선 국가 차원의 R&D 지원과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포스트 OLED’를 대비하기 위해 새로운 디스플레이 소자·공정·재료에 대한 적극적인 R&D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