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정만의 일 아니다"…전씨·정 의원 설득지원 김대중총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민정 손발 안 맞아 혼선>
○…전두환 전 대통령과 정호용 의원의 반발 무마가 순탄하지 않자 민정당은 양쪽 눈치를 보며 내부적으로는 손발이 안 맞아 짜증스런 표정.
박준규 대표위원은 18일 『정 의원의 사퇴서가 제출되더라도 전씨의 증언과 특위의 해체가 이뤄지는 시점에서 수리돼야 할 것』이라며 선증언-후사퇴 원칙을 밝힌바 있는데 이 발언을 모르고 총무회담에서 선사퇴-후증언을 합의하고 온 이한동 총무는『왜 그런 말을 했는지 모르나 증언이 마무리 절차가 돼야한다』는 입장.
이춘구 총장은 19일 『정 의원이자신의 사퇴로 모든 것이 종결돼야한다고 했다면 전 전 대통령도 마찬가지』라면서 5공 청산이라는 문제의 성격에 비춰 『증언이 최종단계의 것이어야 한다』고 해 박 대표의 발언에 의문을 제기.
민정당 지도부가 이처럼 혼선을 겪고있는 것은 전·정씨 측이 여권의 신뢰성·능력 모두를 회의하고 있어 설득이 어렵기 때문이라는 얘기인데 이 총장은 여권의 도덕성 시비와 관련, 『노 대통령이 지난8일 정 의원을 만났을 때만 해도 사퇴시키는 쪽보다 자기책임 하에 다른 방법을 생각하고 있었다』며 정 의원 사퇴합의가 계획적인 것이 아니었다고 설명.

<지자제문제에 당력전환>
○…평민당은 5공 청산합의가 백담사측과 정호용 의원의 반발로 진통을 겪자 『민정당만의 일이 아니다』며 적극 지원자세.
19일 당무지도합동회의에서 여권의 혼선을 일단 관망하자는 의견도 나왔으나 한영수 당무위원 등이 나서 『정 의원문제는 4당 합의가 된 만큼 노 대통령 등 여권만의 문제가 아니다』며 『정씨 사퇴를 추진하는데 야당도 보조를 맞춰야 할 것』이라고 주장.
회의에선 또 당내일부와 재야에서 5공 청산합의사항에 반발이 계속됨을 감안, 지자제문제로 당력을 전환시킨다는 방침 아래 금년이 가기 전에 지자제법·지방의회선거법 등을 타결 짓기로 결정. 김원기 총무는『지자제법을 마련하고 금년 안에 단 하루라도 임시국회를 열어 선거법도 통과시켜 제도적 장치를 완비하겠다』고 의욕.

<생중계 벼르는 백담사>
○…민정당측이 전두환 전 대통령의 증언을 서두르고 있음에도 백담사측이나 최규하 전 대통령측은 『민정당이 앞뒤도 안재 보고 멋대로 움직이고 있다』며 계속 냉담한 자세.
백담사의 한 측근은 19일 『생중계 방식으로 모든 것을 소상히 밝히겠다는 전 전 대통령의 소신은 변함이 없다』며 『정부·여당이 전 전 대통령이 증언할 의사가 없다는 얘기를 퍼뜨리는 것은 책임을 백담사로 떠밀려는 조작극』이라고 분개.

<구공화 명칭계승에 반발>
○…공화당 중진의원들은 과거의 민주공화당으로 당명을 바꿀 방침을 정했으나 일부 소장의원들이 『당 이미지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반발.
김용채 총무는 19일 『내년 2월26일이 구공화당 창당일이며 이날 전당대회에서 옛날의 당 명칭을 되찾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우리가 구공화당을 계승한 것이 명백한 이상 당명을 되찾는 것도 당연하다』고 강조.
그러나 중진의원들의 이같은 대세형성에 대해 유기수 의원 등 일부 초선의원들은 『앞으로 나아가야 할 시대에 이제 와서 거꾸로 옛 공화당이름으로 돌아간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며 지금은 시대의 조류와 민주화·개방화에 맞는 이미지를 갖추도록 노력해야 할 때지 회고분위기에 잠겨있을 시기가 아니다고 비판.

<야권 통합파 내부갈등>
○…민주당 내의 야권통합 움직임은 최형우 전 총무가 김영삼 총재와 만나 『뜻을 같이 하기로 했다』는 설 등이 나돌면서 소장의원들이 이에 반발하는 등 주춤하고 있는 느낌.
추진파인 김정길 의원은 『최 전 총무가 16일 의원총회에서 청와대회담결과를 추인하자고 한 발언을 분석 중』이라며 『그 양반이 다시 총재직계로 돌아선 것 아니냐』고 의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