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ue&] 코로나 사태 속에서도 적극적 인재 확보 적시적소 배치 위해 '상시 채용’ 제도 도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6면

한국투자증권이 인재 확보에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기존 채용 전형과 규모는 그대로 유 지하면서 상시 채용 제도를 도입했다. 사진은 한국투자증권 본사 전경. [사진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이 인재 확보에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기존 채용 전형과 규모는 그대로 유 지하면서 상시 채용 제도를 도입했다. 사진은 한국투자증권 본사 전경. [사진 한국투자증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고용 한파가 지속하는 가운데 한국투자증권은 오히려 채용 규모를 지난해보다 늘리며 인재 확보에 적극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투자증권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기존에 운영하던 채용 절차에 더해 ‘상시 채용’ 제도를 도입했다. 언제 열릴지 모를 채용공고를 기다릴 필요 없이 한국투자금융그룹의 채용 포털(recruit.truefriend.com)에 지원 서류를 올려 두기만 하면, 채용 담당자가 이를 수시로 검토해 개별적으로 채용 전형을 진행한다.

상시 채용은 기업 입장에서도 공개 채용보다 유연하게 인재를 확보해 적시 적소에 배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필요로 하는 인력 외에 미래에 필요할 수 있는 인재를 선제적으로 채용할 수 있다는 점도 특징이다. 기존 직무기술서에는 포함되지 않은 특별한 역량을 가진 인재를 상시 채용 제도를 통해 발굴할 수 있고, 이들의 역량을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업무 영역을 만들 수도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상시 채용과 무관하게 기존 채용 전형과 규모는 그대로 유지한다. ▶일반 공채 ▶수시 공채 ▶수시 경력채용 ▶해외대인턴 전형 ▶전역장교 전형 ▶리서치챌린지 ▶채용연계형 인턴 ▶체험형 인턴 등 다양한 채용 전형을 운영하고 있다

또 한국투자증권은 올해 채용 담당 부서를 인사 조직에서 분리해 ‘채용교육부’로 재정비했다. 맨파워를 ‘자원’으로 생각하던 조직 관점의 채용에서 벗어나, 지원자 개개인에게 초점을 맞춘 디테일한 채용을 진행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교육 기능도 흡수했다. 채용부터 조직 적응, 직원의 역량 개발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성 있는 온보딩 프로그램을 통해 지원할 수 있게 됐다.

한국투자증권 채용교육부를 총괄하는 여영상 부장은 “좋은 인재를 뽑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각 업무영역에서 원하는 맞춤 인재를 선발할 수 있도록 부서별 실무자와 지원자 사이를 잇는 커뮤니케이션 기회를 만들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승수 중앙일보M&P 기자 kim.seungs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