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인 금지 유지할듯, 밤9시는 의견 갈려…30일 거리두기 발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8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정부의 2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백신 무료 접종사업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뉴스1

28일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정부의 2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백신 무료 접종사업 관련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뉴스1

정부가 당초 29일로 예정했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를 주말로 미뤘다. 최근 확진자 발생 양상이 심상치 않기 때문이다. IM선교회 외에 학원·직장 내 집단감염도 터지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확진자 추이를 정밀 분석한 뒤 이르면 30일 거리두기 조정안을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현 핵심방역수칙 중 하나인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 조처는 당분간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 ‘오후 9시’ 이후 정상영업 금지 조처를 놓고는 현재 중대본 내 의견이 엇갈린 상황이다.

거리두기 조정안 이르면 30일 발표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8일 기자 설명회에서 “이번 주 신규 확진 발생이 증가하는 양상이라 상당한 긴장감을 갖고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며 “IM 선교회로 인한 일시적 환자 증가인지 아닌지 판단이 필요하다. 면밀하게 분석 중이다. 당초 목표했던 29일 거리두기 조정안 발표는 어렵다”고 말했다. IM선교회 관련 누적 확진자는 318명에 달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2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497명으로 보고됐다. 최근 일주일(22일~28일)간 신규 환자는 2821명으로, 하루 평균 403명의 환자가 쏟아졌다. 이에 비해 28일 집계 발표한 신규 환자는 평균을 웃돈 수치다. IM 선교회 발(發)에 생활 속 집단감염이 터진 여파로 중대본은 파악하고 있다. 단순히 최근 일주일의 신규 환자만 놓고 보면, 거리두기 2.5단계 기준(400~500명 이상)을 충족한다. 현재 전국에 2.5단계(수도권), 2단계(비수도권) 조처가 내려져 있는 상황인데, 당장 거리두기 단계 인하는 어려워 보인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연합뉴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 연합뉴스

'오후 9시' 놓고 의견 엇갈려 

여론의 관심이 가장 쏠리는건 오후 9시 이후 정상영업, 5인 이상 사적모임 해제 여부다. 이를 놓고 중대본 안에서 각 부처, 지자체별로 여러 의견이 제시됐다. 우선 ‘오후 9시’ 조처를 놓고서는 “오후 10시로 한 시간 연장해줘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일부 부처는 수개월째 문을 열지 못하는 유흥시설도 시간제한·면적당 인원제한을 두고 영업을 풀어주는 게 형평에 맞다는 주장도 전달됐다. 물론 오후 9시 조처가 접촉기회를 줄인 것으로 평가되는 만큼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잇따랐다. 정부 관계자는 “방역의 일관성 차원에서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고 말했다.

강한 바람에 임시 선별검사소 보강하는 관계자. 연합뉴스

강한 바람에 임시 선별검사소 보강하는 관계자. 연합뉴스

'5인 모임금지'는 설연휴에도 유지 가능성 

5인 사적 모임금지 조처는 중대본 안에서 최소 설 연휴까지 유지해야 한다는 게 중론이었다. ‘설 당일은 풀어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이 나왔지만, ‘모이지 말라’는 설 연휴 특별방역대책 메시지와 충돌할 수 있는 만큼 회의적인 반응이었다. 전날 열린 정부 생활방역위원회 내 분위기도 비슷했다. 한 생활방역위원은 “설 연휴 기간에 워낙 많은 사람 모이면 그만큼 위험하다”며 “지금 환자 수준 자체가 결코 적다고 할 수 없다. 지금 상태('오후 9시', '5인 이상 사적 모임' 금지 조처) 유지하는 게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말했다.

무엇보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앞둔 만큼 환자 발생 규모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거리두기도 이와 맞물려 있다. 그간 중대본 토론 과정에서도 이런 의견이 닿았다. 또 다른 생활방역위원은 “다음 달부터 백신 접종이 시작되면 전체적으로 거리두기 분위기가 느슨해질 수 있다”며 “백신 접종 후 집단면역 형성까지 상당 시간이 있어야 하는데 이런 이완된 메시지가 사회에 퍼지면 곤란하다”고 말했다.

김민욱·황수연 기자 kim.min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