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코로나 끝나도 집·사무실 하이브리드형 근무 늘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3차 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이 2단계 상향되면서 각 기업체와 관공서 등에서 재택근무를 강화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달 24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청 행정지원과에 재택근무가 실시되고 있다. [수원=뉴시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급증에 따른 3차 유행으로 사회적 거리두기 방역이 2단계 상향되면서 각 기업체와 관공서 등에서 재택근무를 강화하는 등 대응에 나서고 있다. 지난달 24일 오후 경기도 수원시청 행정지원과에 재택근무가 실시되고 있다. [수원=뉴시스]

한국은행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언젠가 종식되더라도 재택근무는 계속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재택근무 확산이 부분적으로 대도시 공간 구조의 변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고 내다봤다. 임대료가 비싼 대도시의 사무실 필요 면적이 줄고 근로자의 교외 이주 수요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다.

한은 ‘재택근무 확산’ 보고서 #“참여자 늘어나며 인식 많이 개선 #가정 내 근무공간 확보돼야 성과 #대도시 사무실 수요 줄어들 전망”

한은은 13일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재택근무 확산, 쟁점과 평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냈다. 한은은 “많은 직원이 강제로 (재택근무에) 참여하면서 재택근무에 대한 인식이 많이 개선됐다”며 “재택근무가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직원과 기업이 이미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미국과 유럽에선 지난 4~5월 전체 근로자의 절반가량이 집에서 일했다. 국내에서도 재택근무를 활용하는 근로자가 큰 폭으로 늘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으로 재택이나 원격근무를 하는 근로자는 50만3000명이었다. 1년 전(9만5000명)과 비교하면 430%가량 급증했다.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근로자 중 재택근무 비중은 지난 8월 17.4%로 1년 전(4.3%)보다 크게 높아졌다.

관련기사

한은 관계자는 “소비에서 온라인 쇼핑이, 기업 활동에서 원격회의가 늘어난 것처럼 재택근무 역시 코로나19가 진정돼도 추세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집과 사무실을 유연하게 활용하는 ‘하이브리드’(혼합) 형태의 재택근무가 많아지리란 관측이다.

한은은 “재택근무 확산이 사무실 필요 면적을 줄임으로써 제한적으로나마 대도시 상업 건물 수요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직장·주거 근접의 필요성을 줄여 직원들이 주거비가 저렴한 지역으로 이주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대도시에 사는 이유에 직장과 주거의 근접성만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재택근무 확산으로 교외 이주 수요가 갑자기 많이 늘어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은 재택근무로 근로자의 통근시간이 줄고 업무 집중력이 좋아지는 건 생산성을 높이는 요인이라고 봤다. 기업 입장에서도 재택근무를 활용하면 고용 관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하지만 기업이 집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근무 태도를 일일이 점검하기 어렵기 때문에 근무 태만을 초래하거나 관리 비용을 증가시킬 가능성도 있다. 구성원 간 대면 상호작용이 줄어 업무 관련 지식이 잘 전수되지 않고 창의성 발현이 어려워지는 것도 생산성을 낮출 수 있는 요인이다.

한은은 “평균 출퇴근 시간이 길고 정보기술(IT) 기반이 발달한 나라는 재택근무 확대로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전체 인구의 절반가량이 수도권에 살면서 이 중 상당수가 서울로 출퇴근하는 한국이 여기에 해당할 수 있다. 재택근무가 근로자의 삶의 질을 높이느냐, 그렇지 않으냐에 대해선 두 가지 측면이 모두 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한은은 재택근무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려면 가정 내 근무·주거 공간을 잘 분리하고 (자녀) 돌봄 서비스와 학교를 정상화하는 게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한은 관계자는 “많은 기업이 재택근무를 활용하는 업무 범위를 점차 넓히면서 최적의 재택근무 조합을 찾아 나갈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근무시간보다는 성과를 중시하는 문화도 자리 잡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