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파우치의 암울한 전망 "올해 코로나 백신 나오기 어렵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 AP=연합뉴스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보건원 산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 AP=연합뉴스

미국의 최고 감염병 전문가 앤서니 파우치 미 국립 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 소장이 올해 안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이 나오기 어렵다는 전망을 내놨다.

28일(현지시간) 미 정치전문매체 더힐은 파우치 소장이 미국의사협회저널(JAMA)과 인터뷰에서 이같이 의견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파우치 소장은 “FDA는 제약사들이 연내 제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자료에 비해 안전성과 효능의 지속 측면에서 더 신뢰할만한 데이터를 추가로 원할 것”이라며 백신 개발에 나선 제약사들이 연내에 긴급사용 승인 신청을 위한 임상시험 자료를 제출하더라도, 미 식품의약국(FDA)은 내년 1월 전에는 승인을 내주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까지 긴급 사용 승인 신청을 한 제약사는 2곳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파우치 소장은 “효능과 안전성이 입증된 백신이 나온다면 나 스스로 주저하지 않고 접종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코로나19 백신 개발 선두주자 중 하나로 꼽히는 미국 화이자도 당초 계획한 일정에 비해 최종 임상시험 데이터 확보가 지연되고 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는 같은 날 화이자의 코로나19 백신 개발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지만 최종 임상시험 데이터 확보가 늦춰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 최고경영자(CEO)는 더타임스에 “(백신 개발이) 막바지 단계에 접어들었다”며 “전 세계 경제와 보건을 위해 굉장히 중요한 사안인 만큼 인내심을 가지고 기다려 달라”고 밝혔다.

앞서 화이자는 올해 6월부터 4만2000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으며, 이 중 3만6000명이 실제 백신이나 플라시보(가짜 약) 2차 접종을 받았다.

화이자는 독일 바이온테크와 함께 ‘메신저 리보핵산’(mRNA·전령RNA) 방식의 코로나19 백신을 개발 중이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