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의사 국시 허용해야…사과는 의대생이 아닌 의협이"

중앙일보

입력

지난달 14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반발하여 집회를 열고 있다. 뉴스1

지난달 14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전공의와 의대생들이 의대 정원 확대 등에 반발하여 집회를 열고 있다. 뉴스1

의료계와 사사건건 대립하던 대한한의사협회(한의협)가 의대 본과 4학년생들의 국가고시 재응시를 허용해야 한다고 편들고 나섰다.

한의협은 29일 논평을 통해 "의대생들만 국시 미응시로 인한 불이익을 받게 될 위기에 처한 현재 상황은 크게 잘못됐다"며 "의대생들의 국시 재응시는 전향적으로 허용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의료 독점을 지키기 위해 총궐기를 주도한 의협이 현 상황에 대해 최종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며 "국민에게 사과해야 할 당사자는 의대생들이 아니라 의협"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환자와 학생을 볼모로 삼는 파업은 두 번 다시 반복돼서는 안 되며 학생들이 의사 파업의 희생양이 되도록 방치하는 것도 있어서는 안 될 일"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의과대학 정원 확대 등 정부 정책에 반발해 의대생들은 국시 응시를 거부하다 지난 24일 입장을 바꿔 국시에 응시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정부는 그간 의대생들이 시험 응시 의사를 밝히더라도 '국민적 동의'가 없다면 기회를 부여하기 어렵다는 뜻을 연이어 밝혀왔다.

보건복지부는 당시 입장문을 통해 "정부의 기존 입장은 변함이 없고 의대생들의 국시 응시 표명만으로 추가적인 국시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하면서 "의사 국시에 대한 추가적인 기회 부여는 다른 국가시험과의 형평성, 공정성에 대한 문제와 이에 따른 국민적 수용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라고 했다.

전날에도 국회 보건복지위원장인 김민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의료계와 정부가 국시를 거부한 의대생들의 구제를 위해 물밑 접촉하고 있다는 보도가 나오는 것에 대해 "현재로선 (논의는)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함민정 기자 ham.minju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