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김해영 “민주당 지도부, 잘못을 잘못했다고 말하지 못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연합뉴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 [연합뉴스]

“지도부가 잘못한 것은 잘못했다고 국민께 진솔하게 말씀드려야 했다.”

김해영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28일 2년 임기를 마치며 자신의 페이스북에 적은 소회 일부다. 김 최고위원은 “사람이든 정당이든 완벽할 수 없고 누구나 실수할 수도, 잘못할 수도 있다”며 “솔직하게 잘못했다고 인정하면 국민께서도 웬만한 것은 이해해주실 거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그는 “국민께서 이해해주시지 못할 정도라면 그 부분에 대해서는 책임을 지면 되는 것”이라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또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관련한 사안에서 국민 사이에 갈등과 분열이 크게 일어났고 지금도 당시 국민적 갈등이 잠재적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당에서 국민적 갈등을 조정하고 수습하는 데 있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한 부분이 아쉽다”고 했다. 당시 당 지도부는 조 전 장관을 두둔했지만, 김 최고위원은 조 전 장관 자녀 입시부정 의혹에 “적법·불법 여부를 떠나 많은 국민이 납득하기 어렵다”고 했다.

김 최고위원은 지난 5월 윤미향 민주당 의원의 시민단체 후원금 개인계좌 모금 문제에선 “계좌를 공개해라”고 했다. 7월엔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추행 피해자에 대해 이해찬 대표가 ‘피해호소인’이라고 하자 “피해자 표현이 맞다”며 당에서 처음으로 사과했다. 모두 이 대표 면전에서였다. 김 최고위원은 “주류 의견과 달라도 소수 의견을 과감하게 말하는 것이 당의 다양성을 확장하는 길”이라며 “국민 전체와 당에도 도움이 되는 길이라고 생각했다”고 했다.

김해영 민주당 최고위원 페이스북 캡처

김해영 민주당 최고위원 페이스북 캡처

다음은 전화 인터뷰 내용.

지도부가 잘못을 시인하지 못한다고 처음 느낀 건 언제인가.
"2018년 최고위원이 된 뒤 정부가 추진하던 최저임금에 대한 부작용에 속도 조절을 주장한 적은 있다. 그런데 소신 발언을 하게 된 결정적 계기는 아무래도 작년 8월부터 불거진 조국 전 장관 사태다." 
문제의식은 무엇이었나.
"조 전 장관 자녀들의 입시부정 논란은 일반 국민 관점에서 수긍하기 어려운 부분이다. 공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청년의 경우는 더 그렇다. 지도부가 해명하거나 두둔해도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봤다. 조국 사태를 바라보는 제 생각은 지금도 변함없다."
소신 발언을 할 때 지도부 반응은 어땠나
"드러내서 자제시키는 분은 없었지만, 눈치 주는 분은 있었다. 제 발언에 공개의견을 밝히지 못했던 의원들은 공감해주셨다. 새로 선출될 최고위원들도 당 지도부 방침이 잘못되면 의견을 분명하게 말했으면 좋겠다."

원외인 김 최고위원은 민주당 부산시당 산하 정책연구소인 ‘오륙도 연구소’에서 소장을 맡아 활동하기로 했다. 일각선 내년 4월 부산시장 재보궐 선거 후보로 거론되기도 한다. 김 최고위원은 “당분간 부산시를 위해 활동할 계획”이라며 “부산시장 출마를 염두에 두고 맡은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효성 기자 kim.hyos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