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서 무릎꿇은 김종인 "부끄럽고 부끄럽고 죄송하고 또 죄송"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무릎 꿇고 참배하고 있다. [뉴스1]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9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무릎 꿇고 참배하고 있다. [뉴스1]

“역사의 화해는 가해자의 통렬한 반성과 고백 통해 가장 이상적으로 완성될 수 있습니다. 그 시대를 대표해서 제가 이렇게 무릎을 꿇습니다.”

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9일 “5ㆍ18 민주 영령과 광주 시민 앞에 이렇게 용서를 구한다. 부끄럽고 부끄럽고, 죄송하고 또 죄송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날 오전 광주 국립 5ㆍ18 민주묘지를 참배한 직후 취재진을 만난 자리에서다.

발언에 앞서 김 위원장은 추모탑에 헌화한 뒤 무릎을 꿇고 15초간 5ㆍ18 희생 영령을 향해 묵념했다. 민주묘지의 ‘행방불명자’ 묘역도 참배했다. 행방불명자 묘역은 5ㆍ18 민주화 운동 중 행방이 확실치 않은 희생자들의 넋을 추모하기 위해 별도로 마련된 공간이다. 당 관계자는 “이름 없는 희생자까지 잊지 않겠다”는 김 위원장의 뜻이 담겼다고 했다.

광주를 향한 사과를, 김 위원장은 자기반성으로 시작했다. 그는 “1980년 5월 17일 대학 연구실에 있었다. 시위 중단할 거란 방송을 듣고 강연에 열중했다”며 “광주에서 발포가 있었고 희생자가 발생했단 소식은 얼마간 시간이 지난 뒤에야 알게 됐다. 알고도 침묵하거나 눈 감은 행위, 적극적으로 항변하지 않는 소극성 역시 작지 않은 잘못”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역사의 법정에선 이것도 유죄다. 나는 신군부 집권 위해 만든 국보위 재무분과위원으로 참여했다. 여러 번 용서를 구했지만, 결과적으로 상심에 빠진 광주시민과 군사정권에 반대한 국민에 용납할 수 없는 것이었다”며 “다시 한번 이에 사죄한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너무 늦게 찾아왔다. 벌써 일백번 사과하고 반성했어야 마땅한데 이제야 그 첫걸음을 떼었다”며 “5ㆍ18 원혼의 명복을 빈다. 아물지 않은 상처를 보듬고 사는 유족들에게 죄송하다. 제 미약한 발걸음이 역사의 매듭을 풀고 과거 아닌 미래로 향해 나아가는 작은 계기가 됐으면 한다”고 했다.

지난해 5ㆍ18을 앞두고 당내 인사들이 쏟아낸 발언과 관련해선 김 위원장은 “광주의 비극적 사건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부정하고 ‘5월 정신’을 훼손하는 일부 어긋난 행동에 저희 당이 엄중한 회초리를 들지 못했다”며 “표현의 자유 명목으로 엄연한 역사적 사실을 부정할 수는 없다. 그동안 잘못된 언행에 당을 책임지는 사람으로서 진실한 사과를 드린다”고 했다.

김기정 기자 kim.ki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