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첫 채용 증가…주력 제조업은 여전히 부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권기섭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이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6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권기섭 고용노동부 고용정책실장이 30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6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신규 채용 인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확산한 3월 이후 처음으로 늘었다. 그러나 공공행정·사회복지 등 공공 일자리 중심으로 늘었고, 제조업 등 민간 채용시장은 여전히 부진한 모습이다.

6월 채용, 얼마나 늘었나 

30일 고용노동부가 발표한 '6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신규 채용 인원은 79만4000명으로 한 해 전보다 3%(2만3000명) 증가했다. 고용 계약 기간이 1년이 넘는 상용직은 30만8000명으로 5.1%, 1년 미만인 임시직과 일용직은 48만7000명으로 1.7% 증가했다. 채용은 코로나가 창궐한 3월 이후 석달 연속 감소세를 보였지만, 지난달 처음으로 증가세로 전환했다.

경기가 얼어붙어 잠시 휴업·휴직했다 복직한 사람도 늘었다. 관련 인원이 포함된 기타 입직자는 지난달 10만5000명으로 149.5%(6만3000명) 증가했다. 5월보다는 증가세(251.8%)가 둔화했지만, 복직자 증가 행렬은 계속 이어졌다. 동시에 무급휴직 등 기타 이직자도 10만3000명으로 96.9%(5만1000명) 늘었다. 다만, 기타 이직은 지난 3월 정점(11만6000명)을 찍은 뒤 증가 폭이 주는 추세다.

복직 등 기타 입직과 신규 채용 증감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복직 등 기타 입직과 신규 채용 증감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노동시장 회복 신호? 

그러나 노동시장이 본격적으로 회복하고 있다고 보긴 어렵다. 종업원 1인 이상 사업체 전체 종사자는 1836만7000명으로 1.2%(21만4000명) 줄었다. 넉달 연속 감소세다. 고용이 불안정한 특수고용노동자(특고) 등 기타 종사자 증감률은 -4.1%로 상용직 증감률(-0.8%)보다 악화했다. 지난달 휴직에서 복귀한 노동자가 급증했지만, 코로나 확산 기간 동안 워낙 많은 노동자가 무급휴직을 하거나 직장을 잃다 보니 종사자 자체는 여전히 지난해 같은 기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것이다.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수 증감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수 증감률.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신규 채용도 주력 산업인 제조업(-1만2000명)과 자영업 종사자가 많은 음식·숙박업(-1만5000명)에선 늘지 않고 있다. 보건·사회복지서비스(1만4000명), 공공행정·사회보장(4000명) 등 공공 일자리 비중이 큰 산업 위주로 채용이 늘었다.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는 데다, 내수 경기도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지 않고 있어서다.

"실업급여 효과 떨어져"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급여 설명회장에 들어서는 구직자 모습. 뉴스1.

서울 중구 서울고용복지플러스센터 실업급여 설명회장에 들어서는 구직자 모습. 뉴스1.

고용 상황이 악화하는 가운데, 실업자 지원을 위한 실업급여(구직급여)의 효과도 떨어지고 있다. 홍석준 미래통합당 의원실이 고용노동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실업자가 구직급여를 받는 동안 재취업하는 비율은 지난해 25.8%로 2017년 이후 2년 새 4.1%포인트 떨어졌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는 이 비율이 2% 떨어졌지만, 최근 들어 하락 폭이 커지는 모습이다.
반면 한번 구직급여를 받은 사람이 다시 실업을 겪어 반복해서 구직급여를 받아가는 사람은 급증했다. 지난해 구직급여 반복 수급자는 3만6315명으로 2년 새 3053명 증가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385명 감소한 데 비하면, 급격히 늘어난 것이다.

김동원 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제조업 등 민간 영역에서 지속가능한 양질의 일자리가 나오지 않으면 고용 시장 악화, 고용 복지의 효과 등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며 "일자리 창출 기업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 강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세종=김도년 기자 kim.don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