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익표 "매우 송구···봉쇄 표현, 사실 정부 한 달 전부터 썼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중앙포토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 중앙포토

당정청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책 논의 결과를 설명하면서 “대구·경북에 최대한의 봉쇄 조치” 발언으로 물의를 일으킨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26일 “어쨌든 신중하지 않은 표현, 또 오해가 있는 표현을 통해 혼란을 드리고 불안감을 드린 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 수석대변인은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인터뷰에서 “어제의 표현은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조기 코로나19 차단이라는 의지를 표현하는 과정”이라며 고개를 숙였다.

홍 수석대변인은 ‘봉쇄’라는 표현이 방역 당국에서 쓰이는 단어라며 적극 해명했다. 그는 “사실은 전날 회의에서도 논의를 할 때 아무도 심각하게 보지 않고 지나갔던 이유는 방역 당국에서의 표현이었고 계속 정부는 봉쇄라는 표현을 이미 한 달 전부터 썼다”고 반박했다. 이어 “방역적으로 전문가 그룹이나 정부 당국 차원에서는 당연한 표현이었기 때문에 이것이(봉쇄라는 표현) 보고서 내용에도 있었고 그 브리핑 자료를 포함해서 정부 측이 준비해 온 브리핑 자료 초안에도 그대로 포함되어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현재도 봉쇄 정책을 하는데 좀 더 강력히 한다는 것은 아시다시피 특정 종교 집단과 관련돼서 접촉자, 유증상자 또는 확진자들에 대해서 자가 관리나 격리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지 않지 않느냐”며 “이동 등을 행정력을 통해서 강제하고 관련된 특정 종교와 신도들의 정보를 좀 더 강제력을 통해서 확보하는 방향 등 이런 것들을 고민하고 있다고 말한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전날 민주당 당사에서 열린 코로나19 대책 마련을 위한 고위 당정청 협의회 후 브리핑에서 홍 수석대변인은 “대구와 경북 청도 지역은 통상의 차단 조치를 넘어서는 최대한의 봉쇄 정책을 시행하기로 했다”고 밝혀 중국의 우한처럼 ‘지역적 봉쇄’에 나서는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다.

대구·경북 지역의 출입을 봉쇄해 차단한다는 보도가 나오자 그는 직접 수정 브리핑에 나서 “보건 당국에서는 전문용어로 ‘봉쇄’와 ‘완화’라는 용어를 사용한다”며 지역 이동 봉쇄가 아니라 지역 내 감염을 차단하기 위한 봉쇄의 의미라고 해명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