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총리 "우한에 추가 전세기 투입 추진…경보 현단계 유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세균 국무총리가 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대응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세균 국무총리가 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신종코로나) 대응 확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중국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의 발원지인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 전세기를 추가로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귀국을 희망하는 교민과 가족을 데려오기 위한 조치다.

정세균 총리는 9일 신종 코로나 대응 확대 중수본 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에서 "정부는 어려운 상황에 계신 우한 교민들을 한 분도 빠짐없이 모셔오기 위해 노력해 왔다"며 "아직도 우한에는 귀국을 희망하시는 교민들과 그 가족들이 남아있다. 정부는 그분들을 안전하게 국내로 모셔오기 위해 조속히 임시항공편을 투입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달 30일과 31일 정부는 우한에 전세기를 보내 교민 701명을 귀국토록 했다. 아직 우한에는 한국인과 가족 등 약 200여명이 남아 있다.

정 총리는 추가 전세기 투입과 관련해 "관계부처는 중국 당국과의 협의, 관련 지자체에 대한 설명, 철저한 방역을 위한 조치 등을 꼼꼼히 챙겨 주시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신종 코로나 국내 확산으로 정부에 위기경보단계를 지금보다 높여야 한다는 일각의 요구가 있는것과 관련해 정 총리는 현 단계인 '경계'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정 총리는 "국내 확진자의 감염경로가 다양해지면서 지역사회 전파도 우려되고 있다"면서도 "현 위기경보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정 총리는 ▶확진자들이 현재까지 모두 정부의 방역망 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점과 ▶신종 코로나의 치명률이 낮은 점 ▶우리의 의료 수준으로 대응이 가능한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는 게 정 총리의 설명이다.

또 정부는 중국에서 입국하는 이들의 건강 상태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자가진단 앱을 12일 부터 본격 시행하고, 중국 외 지역사회 감염이 발생한 주요 국가 입국자를 대상으로 검역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중국 내 다른 위험지역에 대한 국내 입국금지 조치 확대도 검토한다.

정 총리는 "환자가 많이 발생하는 중국 내 다른 위험지역에 대한 입국제한 조치도 상황에 따라 추가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 0시를 기해 정부는 중국 후베이성을 최근 14일 이내에 방문한 적이 있는 외국인의 입국을 금지하고 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