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국 8일만 '속전속결' 중국대사 신임장 제정식…일본 대사는 두달 기다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신임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 참석해 중국 싱 하이밍(邢海明) 대사로부터 신임장을 받고 있다. [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 본관에서 열린 신임 주한대사 신임장 제정식에 참석해 중국 싱 하이밍(邢海明) 대사로부터 신임장을 받고 있다. [뉴시스]

싱하이밍(邢海明) 주한 중국대사가 7일 오전 청와대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신임장 정본을 제출했다. 지난달 30일 싱 대사가 한국에 입국한 지 8일 만이다.

외교부 "석 달 마다 개최, 타이밍 맞은 것 뿐" #12월 들어온 도미타 고지 일본 대사는 두 달, #2018년 해리 해리스 미국 대사 보다도 빨라 #

외교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문 대통령이 이날 오전 싱 대사와 도미타 고지(冨田浩司) 주한 일본대사 등 신임 주한대사 두 명으로부터 신임장을 제정받았다”고 밝혔다.

싱 대사는 앞서 신임장 제정식 전인 지난 4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설명회를 여는 등 공개 행보를 해 외교적 결례 논란이 일었다. 논란이 있은 후 사흘 만에 신임장 제정식이 열린 셈이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정부가 신종 코로나 확산으로 대중 여론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싱 대사의 공개 활동에 비판 여론이 생기자 제정식을 서둘러 진행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날 함께 신임장을 제정한 도미타 대사는 12월 3일 들어와서 두 달이나 신임장 제정식을 기다리고 있는 상태였다.

해리 해리스 미국 대사의 사례에 비춰보더라도 싱 대사의 신임장 제출은 빠른 편이다. 해리스 대사는 2018년 7월 7일 한국에 들어와 18일 만인 같은 달 25일 문 대통령에게 신임장을 제출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오비이락(烏飛梨落)이라는 입장이다. 외교부 당국자는 “정말 우연히 타이밍이 맞은 것일 뿐”이라며 “마지막 신임장 제정식이 작년 11월이었고 3개월 간격으로 제정식을 할 예정이었다”고 설명했다. 이 당국자는 “싱 대사의 경우 공교롭게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로 인해 국가 간 협력이 더욱 중요한 상황에서 중국 대사가 (신속하게 제정식을 하게 돼) 공식적으로 활동할 수 있게 된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1년에 네 차례 정도 있는 신임장 제정식의 통상 일정에 따른 것이라는 설명이다. 가장 최근 신임장 제정식은 지난해 11월 14일이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주한 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로부터 신임장을 받은 뒤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주한 대사 신임장 제정식에서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로부터 신임장을 받은 뒤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임장은 각국에 파견하는 외교 사절에 대해 파견국 국가원수가 ‘외교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사람’이라고 보증해주는 문서다. ‘정본’과 ‘사본’ 두 장을 주재국에 제출하는데, 정본은 대통령에게, 사본은 외교부 의전장에게 낸다.

나라별로 사정은 조금씩 다르지만 한국은 정본 제출 전에는 대통령과 국회의장, 대법원장 등 3부 요인과 정식으로 만날 수 없다. 꼭 필요한 경우에만 예외적으로 허용하고 있다. 대사로서 온전히 활동하기 위해선 신임장 제정식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는 얘기다.

싱하이밍(邢海明) 신임 주한 중국대사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주한 중국대사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관련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싱하이밍(邢海明) 신임 주한 중국대사가 4일 오전 서울 중구 명동 주한 중국대사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관련 입장 발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하지만 외교부는 싱 대사의 설명회 등 공개 활동에 대해서는 "외교 결례가 아니다"는 유권해석을 내놓기도 했다. 외교부는 "외교관계에 의한 비엔나 협약 13조에 따라 신임장 사본을 제출한 후 신임 대사는 통상적 외교 활동을 개시한다”며 “싱 대사는 1월 31일 신임장 사본을 외교부에 제출했기에 문제가 없다”고 밝혔다.

이 ‘통상적 외교활동’에 대사관 자체 업무나 외교부 카운터 파트 등 실무진을 만나는 것이 해당된다는 설명이었다. 프랑스 등 다른 국가 사례도 함께 제시했다. 싱 대사는 지난달 31일 조세영 외교부 1차관을 예방한 데 이어 6일에는 김건 외교부 차관보를 면담하는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이유정 기자 uuu@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