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원자력硏서 방사능 물질 누출…"방사능 농도 59배 치솟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대전 유성구의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문. 프리랜서 김성태

대전 유성구의 한국원자력연구원 정문. 프리랜서 김성태

대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일부 시설에서 방사성 물질이 외부로 누출된 사실이 확인됐다. 원자력연에서 해당 보고를 받은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현재 이 사건의 정확한 원인과 환경 영향을 조사 중이다.

외부 하천으로는 나가지 않아

원자력연구원은 분기마다 시행하는 정기 검사에서 연구원 정문 앞 배수구 근처 하천과 토양을 점검한 결과, 인공방사성핵종(방사성붕괴에 따라 방사선을 방출하는 핵종)이 검출됐다고 22일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세슘137, 세슘134, 코발트60 등이다.

원자력연은 지난해 12월 30일, 정기 검사를 위해 연구원 정문 앞 하천 토양에서 시료를 채취했다. 이후 시료 분석을 통해 지난 6일 이 토양에서 방사능 농도가 증가했음을 확인했다. 특히 세슘 137의 경우, 최근 3년간 같은 곳에서 확인한 평균 방사능 농도가 0.432 Bq/kg 미만이었지만, 이 조사에서는 59배에 해당하는 25.5Bq/kg까지 치솟은 사실이 확인됐다.

세슘137은 자연상태에서는 존재하지 않고, 핵실험 등을 통해 인공적으로만 만들어지는 원소다. 이 농도는 방사능 낙진의 영향을 가늠하는 척도가 되기도 한다. 정상세포가 강한 세슘에 노출되면 암 등이 발현할 위험도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이나 체르노빌 원전 사고 때도 주변에서 검출됐다.

다만 이번 검사 결과, 연구원 외부를 흐르는 하천에서는 방사능이 검출되지 않아다는게 원자력연 측의 설명이다. 원자력연 관계자는 "물에서는 전혀 검출되지 않은 것을 확인했다"며 "토양에서 나온 25.5Bq/kg도 평소에 전혀 나오지 않던 곳에서 소량 검출 돼 보고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원자력연은 현재 누출이 발생한 하수관을 찾아 정확한 원인을 조사 중이다. 원안위는 "자연증발시설 앞 맨홀 내에서 최대 3.4μSv/h의 방사선량률이 측정돼 자연증발시설이 원인으로 추정된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밝혔다. 자연증발시설은 방사성폐기물처리시설의 부대시설이다.

원안위 조사단은 환경영향평가와 모든 시설에 대한 점검을 하는 중이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