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교육부, 대학·지자체·기업 '어벤져스' 3곳에 1000억 지원

중앙일보

입력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해 11월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하기에 앞서 마이크를 조정하고 있다. [뉴시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이 지난해 11월2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하기에 앞서 마이크를 조정하고 있다. [뉴시스]

지역 대학이 지자체와 협력해 지역에 맞는 사업을 추진하고, 정부가 이를  재정 지원하는 새로운 형태의 대학 지원사업이 시작된다.

20일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방 대학과 지자체 플랫폼 3곳을 선정해 연간 총 1000억여원을 지원하는 '대학 중심 지역 혁신 사업' 계획을 공개했다. 정부가 사업을 미리 정하고 사업에 선정된 대학을 지원하는 방식과 달리 지자체와 대학 스스로 기획한 지역 맞춤 사업을 정부가 지원하는 식이다.

예를 들어 조선해양공학과가 있는 경남권 대학과 거제 등 조선업 중심 도시가 연계해 '스마트 선박 사업'을 추진하는 식이다. 지자체와 대학이 주도하는 사업에 지역 기반 업체가 협력하는 형태다.

과거와 달리 사업의 주도권을 지역 대학과 해당 지자체에 넘기는 사업을 추진한 배경에는 중앙 정부 주도의 기존 재정지원 사업의 성과가 그다지 높지 않았다는 반성이 자리잡고 있다.

교육부는 지방 대학을 이번 지역 사업의 핵심으로 꼽았다.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한 대학을 선정하고 지속해서 지원해 일종의 '플랫폼'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대학을 중심으로 지자체와 기업·연구소 등이 플랫폼에 참여한다.

유 부총리는 지역 사업과 정부 부처 주도 사업을 연계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교육부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고 있는 국가혁신클러스터·지역기업-청년 이음사업 등 4개 사업이 협의를 마쳤다고 밝혔다. 이외에 9개 부처 사업도 연계를 협의 중이다.

지원 대상 플랫폼은 수도권을 제외한 광역시·도 중 3곳을 선정한다. 지자체는 대학과 기업 등 플랫폼 참가자를 모아 ‘지역협업위원회’ 구성해 오는 4월까지 교육부에 사업 계획을 제출해야 한다. 광역시도는 다른 지자체와 함께 플랫폼을 꾸릴 수도 있다.

교육부는 오는 6월 플랫폼 3곳을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플랫폼엔 각각 연 300억원 내외의 국비가 지원된다. 여러 시·도가 함께 만든 플랫폼에는 480억원을 지원한다. 지자체도 총사업비의 30%를 부담하게 된다.

유 부총리는 “대학의 역할을 지역과의 관계에서 새롭게 정립하는 사업"이라며 "앞으로의 고등교육 정책 방향의 획기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남궁민 기자 namgung.m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