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靑 압수수색한 檢, 변태적·이례적…경악스러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검찰개혁특위 공동위원장. [뉴스1]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검찰개혁특위 공동위원장. [뉴스1]

이상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유재수 ‘감찰 무마 의혹’을 밝히기 위한 검찰의 청와대 압수 수색을 “적정한 절차와 방식을 넘어서 과잉 또는 변태적이고 매우 이례적인 방법이지 않는가 라는 의심이 든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검찰공정수사 촉구특위에 있는 이 의원은 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당 입장에서는 좀 경악스럽고 너무 이례적이고 또 통상적이지 않는 그런 일들이 자꾸 벌어져 우려를 많이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하명수사 의혹에 대해 “단순 외부자의 제보로 첩보 자료가 청와대로 들어왔고 담당관실에서 경찰에 이첩하게 했다는 건 통상적이고 업무적인 일이라고 생각한다”며 “오히려 이첩하지 않고 뒀다면 직무유기였을 텐데 이를 침소봉대하고 왜곡하고 있어 혼란이 생기고 있다”고 지적했다.

‘청와대 첩보 제공자가 송병기 현 울산시 경제부시장이라는 점이 부적절하지 않으냐’는 질문에는 “송 부시장으로부터의 제보만 있었을 것으로 보지 않는다”며 “다소 비슷하지만 다른 내용들이 여러 경로를 통해 한꺼번에 제보로 접수됐을 수 있다”고 반박했다. 이어 “박범계 의원이 김기현 전 시장에 대해 문제 제기 했을 때에도 관련 자료를 제출했던 분이 울산에 있는 한 변호사였다”며 “좀더 확인해봐야겠지만 그랬을 것이라는 강한 짐작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 의원은 “(한국당 후보측의 제보였더라도) 당연히 절차적으로 그걸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기관으로 넘기는 것이 적절한 방법이다”며 정당한 절차였음을 강조했다.

하명수사 의혹을 두고 경찰과 검찰이 맞서는 상황에 대해서는 “경찰과 검찰의 입장이 다르고 두 기관 사이에 어느 기관이 적절한 판단이었나 규명이 좀 필요하다”며 “그런 점 때문에 검·경 합동조사를 해야 한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검찰이 일방적으로 수사를 이끌어 나가면 수사결과를 인정받기 어려울 것”이라며 합동수사를 검찰이 받아들이지 않을 경우 특검 카드를 쓸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경찰 수사에도 김기현 전 시장이 무혐의 처분을 받은 것에 대해 이 의원은 “경찰과 검찰 입장이 좀 다르지 않는가. 그렇기 때문에 과연 그 두 기관 사이에 어느 기관이 적절한 판단이었는가는 좀 규명이 필요하다”며 그렇기에 민주당이 ‘검·경합동 수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