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가 홍콩 지지 대립 격화···中대사관 "중국 학생 분노 당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난 12일 오후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게시판에 노동자연대 고려대모임이 작성한 홍콩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는 대자보가 붙어져 있다. [연합뉴스]

지난 12일 오후 서울 성북구 고려대학교 정경대학 게시판에 노동자연대 고려대모임이 작성한 홍콩 민주화 시위를 지지하는 대자보가 붙어져 있다. [연합뉴스]

6개월 동안 지속되고 있는 홍콩 사태가 한국 대학가에서 한국 학생-중국 유학생 간 대립으로까지 확대되자 주한 중국대사관이 중국에 대한 이해를 촉구했다.

15일 주한 중국대사관은 홈페이지에 대변인 담화를 통해 "최근 홍콩의 상황은 국제사회로부터 점점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며 "여러 이유로 관련 사실이 객관적이지 않고 진실을 반영하지 않아 일부 지역, 특히 대학 캠퍼스에서 중국과 한국 청년 학생들의 감정대립이 발생한 것에 대해 유감"이라고 밝혔다.

연세대에서는 한국 학생들이 지난달 말부터 신촌캠퍼스에 홍콩 시위를 지지한다는 내용의 현수막을 설치했으나 무단으로 철거되는 일이 반복됐다. '홍콩을 지지하는 연세대 한국인 대학생들' 측은 지난 12일 현수막을 훼손한 이들을 중국인 유학생으로 추정하고 경찰에 고소장을 제출하기도 했다. 고려대와 이화여대 등에서도 홍콩 시위를 지지하는 문구가 들어간 대자보나 현수막을 둘러싼 한·중 학생들 사이의 갈등이 이어졌다. 한양대 등 일부 대학에서는 홍콩 시위 지지를 호소하는 한국 학생들과 중국 학생들 사이에 설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같은 중국 학생들의 분노에 대해 대변인은 "중국의 청년 학생들이 중국의 주권을 해치고 사실을 왜곡하는 언행에 분노와 반대를 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중국 정부는 해외 중국 공민들이 현지 법률과 규정을 준수하고 이성적으로 애국 열정을 표현하며 자신의 안전을 지키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지속적으로 요구하고 있다"고 밝혔다.

대변인은 그러면서 "한국 사회의 중국에 대한 전면적인 이해와 한·중 우호 관계의 발전을 촉진하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하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15일 주한 중국대사관에 올라온 대변인 담화. [주한 중국대사관 홈페이지 캡처]

15일 주한 중국대사관에 올라온 대변인 담화. [주한 중국대사관 홈페이지 캡처]

대변인은 홍콩 사태에 대한 중국의 입장도 설명했다. 대변인은 "홍콩은 중국의 특별행정구역"이라며 "홍콩의 중국 귀속 이래 '일국양제'(一國兩制·하나의 나라 두 개의 체제) 정책과 '홍콩인이 홍콩을 통치한다'는 고도의 자치 방침이 효과적으로 시행되었으며 홍콩 민중의 권리와 자유는 법에 따라 완전히 보장된다"고 주장했다.

홍콩 시위에 대해 대변인은 "지난 몇 개월 동안 일부 세력은 계속 폭력을 사용해 문제를 일으키고 공공시설을 부수고 태우며 평범한 시민에게 무차별적으로 해를 가했다"며 "이는 어느 법치 사회, 문명사회에서도 허용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중국은 홍콩 시위를 '폭도'로 규정하고 강경 대응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14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브릭스(BRICs) 정상회의에 참석해 “홍콩에서 계속해 과격 폭력 범죄 행위가 벌어져 법치와 사회 질서를 짓밟고 있다”며 “폭력을 중단시키고 혼란을 통제해 질서를 회복하는 것이 홍콩의 가장 긴박한 임무”라고 강조했다.

오원석 기자 oh.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