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 ‘항일거리’ 현판 세워지자 日정부, 외교루트 통해 한국에 항의

중앙일보

입력

‘아베규탄부산시민행동’은 30일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인근을 ‘항일거리’로 지정하고 현판을 세운 뒤 집회를 열고 있다. [부산경찰청 제공=연합뉴스]

‘아베규탄부산시민행동’은 30일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인근을 ‘항일거리’로 지정하고 현판을 세운 뒤 집회를 열고 있다. [부산경찰청 제공=연합뉴스]

부산 일본영사관 인근에 ‘항일거리’ 현판을 세워진 것과 관련해 일본 정부가 한국 정부에 항의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30일 교도통신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외교 루트를 통해 한국 정부에 항의하며 간판을 신속하게 철거하라고 요구했다.

노동·시민단체로 구성된 ‘아베규탄부산시민행동’은 이날 대법원의 일본기업 강제징용 배상 판결 1주년을 맞아 부산 일본영사관 인근 정발 장군 동상 공원에서 항일거리 선포 행사를 열고 ‘항일거리’ 현판을 세웠다.

행사 참가자들은 현판을 세우는 과정에서 이를 막는 경찰과 충돌을 빚기도 했다.

‘아베규탄부산시민행동’은 30일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인근 길을 ‘항일거리’로 선포하고 현판을 설치하려다가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부산경찰청 제공=연합뉴스]

‘아베규탄부산시민행동’은 30일 부산 동구 일본영사관 인근 길을 ‘항일거리’로 선포하고 현판을 설치하려다가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부산경찰청 제공=연합뉴스]

부산시민행동은 “1년 전 대법원은 일본 기업이 강제징용자에게 배상해야 한다는 판결했지만, 일본 정부는 여전히 일제 강점이 합법이라며 사과조차 하지 않고 있다”며 “사죄와 배상을 촉구하는 의미에서 항일거리를 선포한다”고 말했다.

부산시민행동은 일본영사관 후문 인근 위안부 할머니를 형상화한 평화의 소녀상에서 정발 장군 동상 앞 강제징용 노동자상까지 150m 구간을 항일거리로 지정했다.

이날 행사에는 NHK 등 일본 언론 3개사가 현장 취재를 벌이는 등 관심을 보였다.

이지영 기자 lee.jiyoung2@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