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에 104mm 기록적 물폭탄···2002년 태풍 '루사' 비슷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폭우가 내리면서 물에 잠긴 울진읍 삼원주유소앞. [사진 울진군]

태풍 미탁의 영향으로 폭우가 내리면서 물에 잠긴 울진읍 삼원주유소앞. [사진 울진군]

제18호 태풍 '미탁(MITAG)'이 2일 밤부터 3일 오전 사이 남부지방을 관통하면서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기록적인 물 폭탄을 쏟아부었다.

기상청에 따르면 경북 울진에는 시간당 104.5㎜의 비가 내렸다. 1971년 이 지역에서 기상 관측을 시작한 이래 최고치를 경신했다. 강원 동해에도 시간당 67.4㎜ 비가 내려 기존 강수량 기록(62.4㎜)을 갈아치웠다.

태풍이 영향을 미친 1일부터 이날 오후 5시까지 누적 강수량은 경북 울진이 556.3㎜를 기록했다. 포항과 영덕에도 322.3㎜, 382.5㎜의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졌다.

강원 영동지역에도 강릉 371㎜, 동해 368.6㎜의 누적 강수량을 기록하는 등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비가 내렸다.

“강한 비구름, 산악 넘으면서 더 발달”

10월 1일부터 3일 오후 5시까지 누적 강수량. 색이 붉을수록 강수량이 많다는 뜻이다.[기상청 제공]

10월 1일부터 3일 오후 5시까지 누적 강수량. 색이 붉을수록 강수량이 많다는 뜻이다.[기상청 제공]

가을 태풍이 비를 많이 뿌린다는 점을 고려해도 엄청난 강수량이다. 앞서 지난달 19일 발생한 제17호 태풍 '타파'로 인해 제주 산지에 781㎜의 폭우가 쏟아졌지만, 내륙 지역에서 500㎜가 넘는 누적강수량을 기록한 건 이례적이다.

윤기한 기상청 통보관은 “태풍에 동반된 강한 비구름대가 산악을 넘으면서 더 발달해 백두대간 동쪽의 동해안 지역을 비롯해 지리산·한라산 등 산악 지역을 중심으로 단시간에 강하고 많은 비가 내렸다”고 설명했다.

2002년 역대급 비태풍 ‘루사’와 비슷 

2002년 태풍 루사 영향으로 강릉시내가 침수돼 물에 잠긴 차량들의 윗부분만 보인다. [중앙포토]

2002년 태풍 루사 영향으로 강릉시내가 침수돼 물에 잠긴 차량들의 윗부분만 보인다. [중앙포토]

일각에서는 이번 태풍이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시간당 100㎜가 넘는 물 폭탄을 퍼부었다는 점에서 2002년 태풍 '루사(RUSA)'를 연상케 한다는 지적도 있다.

2002년 8월 31일 한반도에 상륙한 태풍 루사는 강원도 지역에 엄청난 양의 비를 뿌리면서 이재민 8만 8000여 명 사망·실종 246명, 재산피해 5조 1419억여 원에 이르는 막대한 피해를 냈다.

강릉에는 시간당 100.5㎜, 일 강수량 870.5㎜에 이르는 기록적인 비가 내렸다. 기상청은 당시에도 "많은 강수량은 태풍에 의한 수렴대(덥고 습한 공기와 찬 공기의 충돌)가 산악의 지형적인 효과 때문에 배가(倍加)돼 비구름대가 발달 강화됐기 때문으로 판단된다"고 원인을 분석했다.

태풍 미탁은 이날 정오쯤 울릉도 북북서쪽 약 60㎜ 부근 해상에서 온대저기압으로 변질했다.

기상청 관계자는 “태풍 후면으로 유입되는 북동풍이 약화하는 6일까지 동해 상에서는 시속 35~60㎞의 매우 강한 바람과 3~6m의 매우 높은 물결이 일겠다”며 “동해안 지역에서는 침수 피해와 안전사고에 각별히 유의하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추가 태풍 가능성 배제 못 해”

남부지방을 관통한 태풍 미탁이 3일 오전 6시 동해로 빠져나간 뒤 계속 동진하고 있다. [자료 미 해양대기국(NOAA)]

남부지방을 관통한 태풍 미탁이 3일 오전 6시 동해로 빠져나간 뒤 계속 동진하고 있다. [자료 미 해양대기국(NOAA)]

한편, 또 다른 가을 태풍이 한반도에 영향을 줄지도 관심이다.

올해 한국에 영향을 준 태풍은 미탁을 포함해 모두 7개다. 기상 관측 이래 1959년과 함께 가장 많다. 태풍이 추가로 오면 올해는 태풍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해로 기록된다.

통계상으로는 이번 달에 태풍이 더 발생해 한반도로 향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

윤 통보관은 “태풍은 북태평양 고기압의 가장자리를 따라오는데 이 경로가 아직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태풍이 우리나라에 추가로 영향을 줄 확률은 낮지만 배제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수치 모델상으로는 며칠 후에 태평양에서 태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지만, 아직 조짐이 뚜렷하지는 않기 때문에 언급하기에는 이르다”고 덧붙였다.

천권필 기자 feeli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