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가위 앞뒀는데…체임 노동자, 영남서만 5만4700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추석을 앞두고 영남지역에서 임금을 받지 못해 고통 겪는 근로자가 많다. 지난 7월 말 기준 부산·대구 고용노동청 관할 근로자 5만4700여명이 임금 2626억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2626억 못 받아…작년보다 7%↑ #노동청 11일까지 청산 활동 계획

부산·울산·경남은 총 1796억원으로 작년 동기 1668억원보다 7% 늘었다. 임금을 받지 못한 근로자는 3만6890명으로 작년 3만5150명보다 5%가량 늘었다. 올해 지역별 체불액은 부산 632억원, 울산 304억원, 경남 859억원이다. 부산·경남은 작년보다 각각 13%(76억원), 9%(72억원) 늘었으나 울산만 6%(19억원) 감소했다. 체불이 많은 곳은 제조업(인원 32%,금액 45% 차지)과 5~29인 사이 사업장(인원 77%,금액 70% 차지)이다.

대구·경북(TK)에선 1만7857명이 임금 830억8100만원을 받지 못하고 있다. 액수는 작년 같은 기간(809억1500만원)보다 3.7%인 21억8400만원, 근로자는 2.2%인 384명이 각각 늘어났다. TK 역시 사업장 규모가 작은 곳에서 체불이 많았다. 5인 미만 사업장 254억3900만원, 5~29인 사업장 332억1500만원, 30~99인 사업장 187억300만원, 100~299인 사업장 53억7200만원 체불이 발생했다. 300인 이상 대형 사업장 체불은 3억5200만원에 지나지 않는다.

TK 지역 제조업 체불은 전체의 50%인 414억500만원으로 가장 많다. 지난해(371억6800만 원)보다 11.4% 증가한 액수다. 이밖에 건설업(132억8700만원), 도·소매업과 음식·숙박업(79억1400만원), 금융·보험·부동산업(73억8800만원) 순으로 체불이 많았다.

부산·대구 고용노동청은 체불청산지원 기동반을 꾸려 추석 전인 다음 달 11일까지 청산 활동을 벌인다. 근로감독관이 평일 오후 9시까지, 휴일 오후 6시까지 비상근무를 한다. 검찰은 상습 체불 사업주를 구속 수사하기로 했다. 부산노동청 관계자는 “예년 사례로 볼 때 체불액 기준 35%는 사업주 도산과 도주, 능력 부족으로 끝내 청산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황선윤·김윤호 기자 youknow@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