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영무 “김정은, 자유민주사상 접근”…대북 전문가들 갸우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16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안보 학술 세미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망과 과제'에서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오전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2019 안보 학술 세미나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망과 과제'에서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이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송영무 전 국방부 장관이 16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자유민주사상에 접근한 상태”라고 말했다.
송 전 장관은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한국국방연구원의 ‘2019년 안보학술세미나’ 기조강연에서 “북한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주체사상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자유민주 사상에 접근해 있는 상태”라고 했다. 과거에는 정부가 군사적 충돌을 어떻게 막느냐에 중점을 뒀다면 지금은 군사적 충돌은 하지 않기로 9·19 남북 군사합의에서 전제한 만큼 경제 개발을 어떻게 할지에 중점을 두는 쪽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9월 퇴임 후 첫 공개강연서 독특한 발언

송 전 장관은 또 과거 북한은 구소련으로부터 군수물자를 지원받았지만 “현재 김정은이 러시아 푸틴 대통령이나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을 찾아가 전쟁할 테니 지원해달라고 하면 그게 가능하겠느냐. 이제는 그런 상황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북한의 핵과 화생방(무기)만 빼면 북한을 겁낼 이유가 없다”며 “(북한 군사력에 대한) 정량분석에 치우치다 보니 북한이 강한 것처럼 느껴진 면이 있다”고 말했다.

송 전 장관이 공개 강연을 한 건 지난해 9월 퇴임 후 처음이다. 이날 “김정은 자유민주사상 접근 상태”라는 발언은 북한 사회와 주민들의 인식 변화를 강조하면서 나왔다. 하지만 대북 전문가들은 의아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익명을 요청한 한 대북 전문가는 “김 위원장이 지난달 12일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사회주의 주체사상을 공고히 하는 지침을 전달했는데 정반대로 얘기했다”며 “단순히 북한이 변했다는 식의 발언은 남북관계 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다른 전문가도 “실용적 사회주의라면 모를까 자유민주사상을 언급한 건 너무 나갔다”며 “전직 국방 수장으로서 용어 선택이 부적절했다”고 말했다.

백민정 기자 baek.minje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