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버스 노사, 임금 20% 인상 합의…"52시간 시행 감소분 보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국 버스노조 총파업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송파공영차고지에 버스가 주차되어 있다. [연합뉴스]

전국 버스노조 총파업을 하루 앞둔 14일 서울 송파공영차고지에 버스가 주차되어 있다. [연합뉴스]

인천시 시내버스 노사가 14일 임금 인상률 등에 전격 합의하면서 파업 위기를 벗어났다.

인천시 버스운송사업조합, 자동차노조연맹 인천노조, 인천시 등 노사정은 이날 시청에서 시내버스 운수 종사자 복리 증진을 위한 '2019년 노정 임금 인상 합의서'를 체결했다.

이에 따라 인천 시내버스 기사의 임금은 3년에 걸쳐 현재 수준보다 20% 이상 올라간다. 올해 8.1%, 2020년 7.7%, 2021년 4.27% 수준의 인상률이 적용된다. 정년도 현재 61세에서 63세로 2년 연장한다.

인천 시내버스 기사의 임금은 현재 월평균 338만원으로 특별시나 광역시 중 최저 수준이었다. 이번 합의에 따라 올해 8.1%를 인상하면 월평균 임금이 382만9000원으로 오르며 중위권 수준이 될 것으로 인천시는 보고 있다.

13일 서울의 한 공영차고지에 버스가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13일 서울의 한 공영차고지에 버스가 주차돼 있다. [연합뉴스]

임금 인상에 필요한 재원은 인천시 버스 준공영제 예산으로 충당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인천시의 올해 준공영제 예산은 170억원 늘어난 1271억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다.

인천 시내버스 노사는 올해 3월 임금협상을 시작해 약 3개월간 5차례 노사회의를 열었다.

사측은 올해 임금 인상률로 공무원 보수 인상 수준인 1.8%를 제시했지만 노조는 주 52시간 시행에 따른 임금 감소분 보전을 주장하며 23.8% 인상을 요구하는 등 노사 간 견해차가 컸다.

노조는 지난달 29일 인천지방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고 지난 10일에는 1차 조정회의를 열었지만 이견만 확인한 채 결론을 얻지 못했다. 노조는 이날 2차 쟁의조정에서 임금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파업 찬반 투표를 할 예정이었다. 투표를 거쳐 파업에 돌입할 경우 인천 준공영제 노선버스 1861대와 기사 4599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날 인천시는 준공영제를 시행 중인 다른 특별시·광역시와 형평성을 고려해 임금 감소 없는 주 52시간 근무제도 시행을 위한 3개년 임금 인상 계획을 제시했다. 노조도 이 방안을 수용하면서 협상은 극적 타결에 이르렀다.

정은혜 기자 jeong.eunhye1@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