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文 적폐청산 타협 안한단 뜻 아냐, 무 자르듯 해석 말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에서 열린 사회원로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에서 열린 사회원로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청와대는 3일 문재인 대통령이 전날 사회원로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언급한 ‘적폐청산’ 부분과 관련해 “적폐청산이 이뤄져야 타협이 이뤄진다거나 적폐청산이 되지 않으면 타협은 없다고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설명했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날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많은 언론이 적폐청산이 먼저 이뤄지면 그 다음에 타협할 수 있다는 ‘선(先)적폐청산-후(後)타협’ 기조로 보고 있는데 이건 마치 ‘타협하지 않겠다’는 것으로도 읽힌다”며 이같이 밝혔다.

기자들이 “문 대통령의 발언에 ‘청산이 이뤄진 다음’ 이라는 언급이 들어가 있지 않느냐”고 질문하자, 이 관계자는 “성찰 위에서 새로운 나라를 만들자는 데 대한 공감을 말씀드리고자 한 것”이라며, “그러한 해석은 ‘이분법적’이다. 현재 (적폐청산) 수사에 대해 ‘피로감이 있으니 그만하자’, 한편에서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등 다양한 여론이 있는데 그에 대한 대통령의 시각을 말씀하신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모든 사안을 무 자르듯 이분법적으로 볼 수는 없다. 청산을 아무것도 안 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청산이 이뤄진 다음 성찰과 공감이 있다면 협치와 타협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본의와 다르게 해석되는 것 같다”고 거듭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또 “왜 이 시점에 문 대통령이 적폐청산이라는 단어를 꺼냈느냐는 질문도 많다”며 “현재 진행되는 수사에 대해 ‘그만하자’, ‘피로감이 있다’는 여론도 있고, 반대편에서는 ‘미흡하다’는 여론도 있다. 이에 대한 대통령의 시각을 말씀 드린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렇다고 또 다른 적폐수사를 하겠다는 뜻은 아니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건들을 얘기한 것)”이라며 “우리 정부는 적폐 수사나 재판에 관여하지 않고 있다는 점도 다시 말씀 드린다”고 밝혔다.

기자들이 “문 대통령이 언론의 메시지 해석에 대해 바로잡으라는 주문한 것인가”라고 질문하자, 이 관계자는 “그렇지 않다. (참모진이) 언론 모니터링을 한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새로운 나라를 만들자는 공감과 성찰이 있으면 타협할 수 있다’는 부분이 아닌 ‘적폐청산이 돼야 협치가 가능하다’는 취지로 보도들이 나간 데에 관한 추가설명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또 전날 간담회 참석자들이 문 대통령에게 “국회가 극한대결로 가면 대통령이 추진하려고 하는 것이 순조롭게 되지 않는다”(윤여준 전 환경부장관)고 말하는 등 ‘대통령이 협치정신을 발휘해 현 여야 대치상황을 직접 풀어야 한다’는 취지로 제안한 데에, 청와대에서 현재 추진 중인 계획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없다”고 답했다.

이 관계자는 ‘문무일 검찰총장이 검경 수사권 조정 법안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 지정에 반발한 것에 대한 청와대의 입장이 있느냐’는 물음에는 “패스트트랙은 여야가 치열한 논의와 협상을 거칠 일이지 청와대가 입장을 밝힐 일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검찰총장은 외청장인데, 정부와 다른 입장을 냈다는 점에 대해서도 청와대의 의견이 없나’라는 물음도 나왔으나, 이에 대해서도 “입장이 없다”고 답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