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렘린궁 “김정은·푸틴 비핵화 논의, 공동성명은 없을 것”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북·러 정상회담을 앞둔 23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용할 것으로 보이는 의전용 벤츠 차량이 회담 장소로 알려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

북·러 정상회담을 앞둔 23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이용할 것으로 보이는 의전용 벤츠 차량이 회담 장소로 알려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 극동연방대학교로 향하고 있다. [뉴시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5일 정상회담을 한 뒤 합의문을 채택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지만 공동선언 형태로 발표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북한 조선중앙통신과 러시아 당국은 모두회담 개최 사실을 공식화했지만 장소와 구체적인 일정은 함구하고 있다.

러 언론 “비핵화 외교적 해결이 의제” #북한, 대북제재 돌파구 마련 원해 #소식통 “합의문 채택 방안 추진” #러, 노동자 비자 연장 선물 가능성

양국 상황에 정통한 소식통은 23일 “지난 2월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2차 북·미 정상회담이 결렬된 직후부터 양측의 정상회담 논의가 속도를 냈다”며 “올해가 북·러 경제·문화협정 체결 70주년을 맞는 해이긴 하지만 북한이 미국과의 협상에서 진전을 보지 못한 이후 양국의 접촉이 빈번해졌다”고 귀띔했다. 그는 “양측의 실무자들이 이미 정상 간 논의할 내용의 가닥을 잡았고, 정상회담에서 합의문 채택을 시도하고 있다”고 알렸다. 정상 간 합의문의 초안은 양측 실무진이 이미 만들어 놨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그러나 합의문은 성명 형태로는 발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리아노보스티 통신에 따르면 유리 류샤코프 러시아 크렘린궁 대통령 외교담당보좌관은 23일 기자들에게 "회담 의제는 한반도 비핵화 문제의 정치·외교적 해결이 될 것”이라며 “(회담 뒤) 문서 서명이나 성명 발표는 계획된 바 없다. 공동성명은 검토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관련기사

두 정상은 회담에서 북한의 비핵화 방식, 양국 협력관계 확대, 경제협력 등을 논의할 전망이다. 정부 당국자는 “양측은 실무협의에서 다양한 현안을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안다”며 “특히 ‘한반도의 관심사항’이라는 표현으로 비핵화와 경협 확대 부분을 논의하는 데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고 귀띔했다. 그러면서 “러시아는 중국과 함께 북한이 주장하는 비핵화 방식(동시적, 단계적)을 줄곧 지지해 왔다”며 “이번 회담에서 푸틴 대통령과 북한이 이를 재확인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럴 경우 북한은 향후 미국과의 협상에서 버팀목을 확보하게 된다.

북한과 러시아는 외교관계 확대뿐 아니라 의회와 민간 교류협력을 더 확대하는 문제도 이번 정상회담에서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특히 이번 회담에서 러시아로부터 경협 확대를 얻어내 대북제재의 돌파구로 삼으려 하고 있다. 전현준 한반도평화포럼 부이사장은 “해외 북한 노동자들의 연내 송환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2017년 말 정한 제재안(2973호)에 담겨 있는 내용”이라며 “러시아는 제재 예외사항인 인도적 지원을 확대하면서도 북한이 간절히 원하는 노동자 비자 연장 문제를 어떤 식으로든 받아들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푸틴 대통령이 김 위원장과의 첫 대면인 만큼 뭔가 선물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정용수 기자 nkys@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