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원전해체연구소 2021년 고리·경주에 세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정부의 에너지전환정책에 따라 국내 첫 원전해체연구소가 원전밀집 지역인 동남권의 부산·울산, 경주에 오는 2021년 하반기까지 들어선다.

2022년 고리1호기가 첫 해체 대상

산업통상자원부는 15일 국내 최초 원전 해체 대상지인 고리 1호기 현장에서 ‘원전해체연구소 설립 양해각서(MOU) 체결식’을 했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설계수명 만료로 영구정지된 고리 1호기의 안전한 해체를 돕고 국내외 원전해체시장의 성장에 미리 대비하는 핵심 인프라로 기능할 예정이다.

원전해체연구소는 원자로 형태 및 폐기물 종류에서 중수로와 경수로가 서로 다른 기술과 장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2곳으로 나뉜다.

부산·울산 접경지역인 고리원전 안에 들어서는 원전해체연구소는 경수로 분야이고, 경주 감포읍 일원에 설치되는 것은 그보다 규모가 작은 중수로해체기술원이다. 국내 원전 30기 가운데 26기가 경수로이고 나머지 4기가 중수로다.

2022년 착수할 것으로 예상되는 고리 1호기 해체는 약 10년에 걸쳐 설계·제염·구조물 해체·부지 복원 등에 약 1000명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는 원자력발전소 1기 해체에 드는 비용을 1조원으로 추산했다. 이 가운데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처분비용이 4000억원, 지역 낙수효과가 6000억원이다. 산업부에 따르면 세계 원전은 총 453기이고 이중 170기가 영구정지 상태로 전체 해체시장 규모는 550조원에 달한다. 국내 원전은 2030년까지 11기가 설계수명이 종료될 예정으로 해체시장 규모는 22조5000억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성윤모 산업장관은 “2020년대 후반부터 원전해체 산업 규모가 본격 확대될 전망으로, 고리 1호기 해체를 기회로 원전기업의 미래 먹거리로서 시장을 선점해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