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탐사하다] 강남 A고 1년에 14명, 금천 B고 12년에 1명 서울대 합격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교실이데아 2019] 입시제도 어떻게 바꿔도 특정 학군 독식 

“올 신입생 스무 명 중 한 명은 서울대에 합격할 가능성이 크다.”

교육 양극화 얼마나 심하길래 #강남 3구·목동·중계동 5곳 강세 #수시보다 정시가 쏠림현상 심해 #정부선 되레 “정시 30%로 확대”

서울 강남구 A고교(일반고)를 두고 누군가 이런 주장을 한다면 고개를 갸웃할 수 있다. 그러나 지난 12년(2007~2018학년도)간 서울대 진학 기록을 보면 사뭇 달라질 것이다. 서울대 합격생 수가 연평균 14.1명이어서다. 올해 1학년 입학생 수로 나누면 5.5%다. 이 학교는 2007학년도 이후 2010학년도(9명)를 제외한 모든 해에 10명 이상씩 서울대에 보냈다.

같은 서울 하늘 아래 있지만, 금천구 B고교(일반고)에 입학했다면 사정은 다르다. 같은 방법으로 계산하니 B고교 신입생이 서울대에 갈 확률은 0.03%다. 1만명 중 3명이란 이야긴데, B고교 1학년생 수는 1만 명은커녕 250명 정도에 불과했다. 2007학년도 이후 이 학교 출신 서울대 합격생은 단 1명이었다. 그마저도 12년 전인 2007학년도의 일로, 그 후로는 전무하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중앙일보 탐사보도팀이 종로학원하늘교육으로부터 2007~2018학년도 서울 소재 고등학교의 서울대 최종 합격자 통계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다. 대학의 수시모집 비율 강화, 학생부종합전형(학종) 도입, 최근에는 정시모집 비율 강화 카드를 꺼내는 등 입시제도는 변신을 거듭하고 있지만, ‘강남’ ‘특목고’(예술고 제외)로 대변되는 상위권 ‘캐슬(castle)’은 견고했다. 강남·서초·송파·노원·양천구 등 특정 학군 쏠림 현상은 수시·정시를 불문하고 여전했다.

지난 12년간 1명 이상의 서울대 합격생을 배출한 252개교 중 한 해에 10명 이상 서울대를 보낸 적이 있는 학교는 56개교였다. 이 중 전국 또는 광역시·도 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 학교 12개교를 제외하면 44개교가 남는데, 대부분 강남(15개교)·서초(8개교)·송파구(4개교)에 있었다.

‘잘나가는 고교’ 60개가 서울 내 서울대 정시 합격생 90%

서울대 합격생을 많이 배출한 상위 60개교에 집중하면 ‘철옹성’의 윤곽은 더 뚜렷했다. 정시의 경우, 상위 60개교가 전체 서울 지역 출신 정시 합격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2012학년도까지 60%대를 유지하다 2014학년도에 91.8%로 치솟았다. 이후 88.3%(2015학년도), 88.8%(2016학년도), 87.2%(2017학년도), 89.2%(2018학년도)로 유지됐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2018학년도 기준 상위 60개교 중 일반고는 34개교(56.7%)였는데, 강남(8개)·양천(6개)·송파·노원(각 5개)·서초구(4개) 소재가 대부분이었다. 서울대가 정시 일반전형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점수 반영 비율을 2014학년도에 30%에서 60%로, 2015학년도에는 100%까지 끌어올린 영향이라고 입시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수시의 경우, 상위 60개교가 전체 서울 지역 출신 수시 합격생 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70% 안팎을 오르내리다 지난해 처음 60% 아래로 떨어졌다. 지난 12년간 최고점을 찍었던 건 2012학년도로 73.0%였다. 서울대는 당시 수시 전형에서 입학사정관제를 확대하고, 인문계열 모집에서 논술고사를 폐지했다. 2015학년도에는 학종을 본격 도입했다. 수시 모집인원을 2007학년도 전체 46.9%에서 2018학년도 78.4%로 상향 조정하고, 전형 방법을 간소화한 것도 합격생의 스펙트럼을 다소 넓히는 데 일조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런데 교육부는 지난해 8월 ‘2022년 대입제도 개편’을 발표하면서 ‘정시 비율 30%’라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2020학년도 전국 대학의 정시 모집 인원 비율은 22.7%인데, 이를 늘리라는 것이다. 이는 학종의 공정성 논란 때문에 나온 고육지책이다. 이른바 ‘입시 코디’와 컨설팅업체를 등에 업은 학부모·학생이 조작·훈련된 학생기록부를 통해 유리한 위치를 선점한다는 의구심 탓이다. “차라리 성적순으로 줄 세우는 게 더 공정하다”는 일부 여론도 영향을 줬다.

하지만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대입제도 개선단이 지난달 발표한 ‘2022학년도 대입제도 개편방안 분석 및 제언’ 보고서는 수능 강화 정책을 “교육적인 관점이 아닌 정치적인 관점만을 고려한 결정”으로 평가했다. 관련 사정에 밝은 교육계 관계자는 “수시 학종과 정시를 비교하면 정시에서 일반고가 많이 들어오기 때문에 정시가 더 공정한 전형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상은 정시로 입학하는 일반고 학생들 대부분이 강남·양천·노원 등 교육특구 출신이고, 재수생이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일반·자사고 수시 합격생 절반은 교육특구 출신 

실제 외고 등을 제외하고 고교 유형을 일반고·자율형사립고(자사고)로 좁힌 뒤 이 중 서울대 합격생을 배출한 학교의 소재지를 분석해보니 특정 학군 집중 현상이 더 두드러졌다. 지난 12년간(2013학년도 제외) 정시 전형으로 서울대 합격생을 배출한 서울 지역 일반고·자사고 소재지를 파악한 결과다. 2개 연도(2007·2010학년도)를 제외한 10년 동안 강남·서초·송파·노원·양천구에 있는 일반고·자사고가 서울 전체 정시 합격생의 60% 이상을 배출했다. 이 비율은 2014학년도에 82.0%에 달한 뒤, 지난해엔 75.0%를 찍었다.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그래픽=박경민 기자 minn@joongang.co.kr

같은 방식으로 수시 전형을 따져보니 역시 강남·서초·송파·노원·양천구 소재 학교에서 배출한 서울대 합격생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다만 비율은 2014학년도에 56.7%까지 올랐다가 지난해엔 47.1%를 기록하는 등 쏠림 현상이 정시보다는 덜했다.

고소득자도, 서울대 진학도 강남·서초 압도적 우위 

12년간 서울대 합격생이 평균 1명 미만인 고등학교(2007년 이후 설립된 학교는 설립 이후 평균치)도 살펴봤다. 이 중 특성화고 등을 제외한 일반고(자율형공립고 포함)는 37개교였다. 중랑구가 5개교로 가장 많았고, 강서·강동·강북·도봉·용산구는 각 3개교였다. 이 차이는 자치구별 가구 소득 차이와 상관관계를 보인다. 서울시의 서울서베이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월평균 소득이 800만원 이상인 고소득 가구 비율은 강남구가 15.8%, 서초구가 14.2%로 압도적 1·2위인 반면, 강북·관악·광진·금천·노원·동대문·성북·양천·은평·종로·중랑구 등은 고소득 가구 비율이 3% 미만이었다.

김동일 서울대 교육학과 교수는 한국 사회에서는 거주지 자체가 ‘교육 인프라’의 빈부 격차를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김 교수는 “요즘은 지역 자체가 일종의 진입장벽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사는 지역이 경제적 지위와 묶여서 문이 달린 폐쇄된 공동체(gated community)와 같은 효과를 내며 지역주의화 양상까지 보인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탐사보도팀=유지혜·정진우·하준호 기자
wisepe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에서 [교실이데아 2019] 학부모 선호도 높은 초등학교, 서울대 진학률이 높은 고등학교를 인포그래픽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3409734)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