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친박, '朴석방 결의안' 추진…좁혀지지 않는 입장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무성 자유한국당 의원 [연합뉴스]

김무성 자유한국당 의원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비박근혜)계가 '박근혜 전 대통령 불구속 재판(석방) 촉구 결의안' 논의를 시작했지만, 박 전 대통령 탄핵을 두고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친박계는 결의안 마련과 관련해 '비박계가 탄핵 찬성에 대해 사과할 것'을 전제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비박계는 '탄핵은 역사적 사실'이라며 사과할 의사가 없다는 입장이다.

최근 비박계 김무성·권성동 의원과 친박계 홍문종·윤상현 의원은 결의안을 포함 계파 갈등 극복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모임을 가졌다. 하지만 이 자리에서 일부 갈등이 표출됐고 지금까지 여진이 이어지는 모양새다.

김무성 의원은 5일 국회에서 열린 '열린토론, 미래' 행사 참석 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의 잘못으로 문재인 정권이 탄생했고 현재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과거의 잘못을 총론적으로 인정하고 화해해 단결된 힘으로 문재인 정권을 막아내자고 합의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양측의 화해 내용을 담은 '합의문'을 준비해 친박계 측과 다시 한번 만날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현재 논란이 되는 '박근혜 석방 촉구 결의안'에 대해선 당시 모임에서 합의하지 못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친박계 의원이 비박계의 결의안 추진 움직임에 대해 '후안무치'라며 강도 높게 비판한 것을 의식한 발언으로 보인다.

다만 결의안을 추진할 의사가 있다는 뜻은 내비쳤다. 김 의원은 "(당시 자리에서)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의 석방을 요구할 의사가 없냐는 제안이 나왔고 내가 얼마든지 앞장서겠다는 정도의 이야기를 했는데, 언론에는 석방 촉구 결의안에 합의했다는 식으로 잘못 보도됐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탄핵에 대해 사과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에 "(당시 탄핵에서) 우리 당 의원 62명이 찬성했고 51명이 반대했고 7명이 기권했다"며 "그런 역사적 사실에 대해 공방을 벌이는 것은 아무 도움이 안 된다"며 선을 그었다.

권성동 의원은 같은 행사에 참석한 후 기자들에게 "탄핵을 찬성한 건 보수를 살리기 위한 몸부림이었다"며 "우리 당이 먼저 화합이 돼야 외부에 있는 보수 세력과 하나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원내대표 출마선언을 한 김학용 의원도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도주나 증거 인멸의 우려가 없고 오랫동안 감옥에서 고생했기 때문에 불구속 재판을 받게 하는 것이 공정한 방어권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며 결의안에 찬성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친박계 일각에서는 비박계의 탄핵 사과가 전제되지 않은 석방 촉구 결의안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친박계 중진 의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비박계가 처음부터 (탄핵이라는) 원인 제공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며 "석방 촉구 결의안은 사후약방문"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박 전 대통령이 기결수가 되면 불구속 재판이 성립되지 않기 때문에 석방 결의안은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친박계 좌장인 무소속 서청원 의원도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비박계 복당파 의원들이 박 전 대통령에 대한 불구속 재판 촉구 결의안을 추진하는데 대해 "정치를 오랫동안 해왔지만 이런 후안무치한 일은 처음"이라고 비판했다.

당 비상대책위원회는 친박·비박계의 이런 움직임에 대해 아직은 관망하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김병준 비상대책위원장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결의안 채택 움직임과 관련해 "시도 자체는 좋지만 벌써 말이 나오자마자 다른 견해들이 표출되고 있어서 지켜보고 있다"고 말했다.

김지혜 기자 kim.jihye6@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