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김정은, 검증 수용했다” 또 先 비핵화-後 제재완화 확인

중앙일보

입력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

마이크 폼페이오 장관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이 21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비핵화 검증을 허용한다고 약속했다”고 말했다. 캔자스 연방 하원의원 출신인 폼페이오 장관은 이날 캔자스 지역 방송국인 KQAM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북한과의 대화 진전 상황을 묻자 “내가 몇 주 전 김 위원장을 만났을 때 그는 북한의 비핵화 검증을 허용하겠다고 지속적으로 약속했다. 그에 이어(in turn) 우리는 북한 주민들에게 더 밝은 미래를 제공하겠다고 계속해서 약속했다”고 말했다. ‘선(先) 비핵화-후(後) 제재완화’ 원칙을 다시 확인한 것이다.

폼페이오 장관은 또 “기간(timeframe) 설정은 없다. 우리는 확정적으로 날짜를 정해 놓고 싶지 않다”며 시간에 쫓기는 협상을 하지 않겠다고도 했다. 그는 또 다른 캔자스 지역 방송국인 710 KCMP와의 전화 인터뷰에서는 “2019년 초에 두 지도자(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 간 정상회담이 이뤄지기를 정말로 희망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지난 8일 열릴 예정이었던 북·미 고위급 회담은 연기된 지 2주가 지났지만 아직 날짜도 다시 잡지 못하고 있다. 서울과 워싱턴 외교가에선 북한이 아직 ‘진실의 순간’을 마주할 준비가 되지 않은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한 소식통은 “미국은 고위급 회담보다도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의제로서 북한의 핵신고와 비핵화 로드맵을 논의할 스티븐 비건 국무부 대북정책특별대표와 최선희 외무성 부상 간 실무급 회담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라며 “북한이 신고할지, 또 어디까지 신고할지가 비핵화 진정성과 직결되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은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2차 북·미 정상회담에서는 핵 신고 리스트와 비핵화 로드맵이 나와야 한다. 이제는 결과가 있어야 한다”고 했는데, 폼페이오 장관의 이날 발언 역시 북한을 향해 이를 압박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정부는 22일 남북 간 철도·도로 연결 관련 공동조사를 위해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산하 대북제재위원회에 제재 면제 신청을 하고 본격적인 협의를 시작했다. 기계류와 발전기류 등 공동조사에 쓸 기기와 장비 중 안보리 제재 대상 품목에 대해 미리 예외를 인정받기 위한 것이다. 정부는 안보리와 협의를 마친 뒤 이달 중 공동조사에 착수하고, 곧이어 연내 착공식까지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지만 착공식에 대한 제재 면제는 한·미 간 추가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유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