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정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소련은 한국과 정치적 관계를 맺지 않고도 경제적 협력을 가속화하기를 바라며 소련의 극동·시베리아지역에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가 되길 원한다고 방한중인 소련학자들이 말했다. 23일 한양대 중소연구원(소장 유세희)주체로 열린 소련학자세미나에는 소련과학아카데미산하 극동연구소 국제교류협력부장 「유리·자르키흐」박사, 동 연구소 발행 「극동의 제문제」지의 「보리스·피슈치크」국제정치담당고문, 「세르게이·쿠다소프」편집부국장 등 3인의 소련학자가 주제발표, 참석자들과 토론을 벌였다.
한민족이 자유와 해방을 얻은지 벌써 40년이 흘렀다. 그때로부터 오늘까지 한반도에는 여러 가지 사건들이 일어나고 있다.50년대에는 유감스럽게도 통일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대신에 남북이 서로 믿지 않으며 서로이해하지 않은채 전쟁준비사업을 벌이고 있었다.
1950년 전쟁이 한반도에 준 한가지 교훈은 민족의 분열과 통일문제는 그 어떤 외세의 간섭 없이 평화적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것이다.
50년대 북한에 대한 소련원조의 기본목적은 북한의 민족적이며 자주적인 경제토대를 마련하는 것이었다. 이 토대 없이 북한은 사회주의 건설의 전망을 달성할 수 없었다.
쌍방의 원조와 협력은 지금은 양국기업들 사이에 사업적 관계와 협동기업 소를 조성하는 식으로 변하고 있다.
시베리아와 극동지방개발에 북한기업 소들이 참가할 희망이 있고 이 문제는 두 나라 사이에 토론되고 있다.
소련은 신사고에 입각하여 아-태 지역에 살고있는 모든 민족과 인민들은 안전과 평화를 강화하는 데에 이바지해야하고 적극적이고도 평등적으로 참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소련은 말로만 이렇게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소중 관계정상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아프간에 조성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조치를 벌써 취했다.
한반도 정세에 대한 소련의 입장은 명백하다. 소련은 남북대화·회담들이 건설적인 분위기 속에서 계속될 것을 희망하며 이 과정에 가능한 한 이바지하고 싶다. 작년에 소련은 한국과의 경제무역 교류를 실시하기로 결정을 내렸다. 이 결정에 의하여 소련은 급속히 한국기업들과 실무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있다.
그렇게 하면서 소련은 동시에 남북회담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기 위한 조건들을 조성하고 있다.
소련과 한국과의 업무적 관계가 소련과 북한사이의 친선적 관계를 변화시키지는 않는다. 오늘 한국과 북한은 소련의 시베리아와 극동개발방안을 실현하는데 참가하기 위한 새로운 전망을 열어놓았다 .만일 그러한 협조가 일어나게 되면 이것은 모든 쪽에 유리한 것이 될 것이다.
정주영 현대그룹명예회장의 소련과 북한방문은 삼자간 협조를 실현하기 위한 첫걸음이 되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