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보리, 北ICBM 논의 성과 없었다… 황준국 “北, 유엔 뻔뻔한 조롱 중단하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20일(현지시간) 오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북한의 최근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문제를 논의했으나 성과없이 끝났다. 20일 열린
-
[사랑방] 서울대 총동창회 外
◆서울대 총동창회(회장 김종섭)는 제25회 관악대상 수상자로 이재원 원앤씨 회장, 이부섭 동진쎄미켐 대표이사 회장, 조경일 하나제약 명예회장, 하기환 한남체인 회장 등 4명을 선
-
[이번 주 핫뉴스]美 기준금리 결정 FOMC 주목…클린스만 데뷔전(20~26일)
3월 넷째 주 주요뉴스 키워드는 #美 FOMC 기준금리 #벚꽃 개화 #달ㆍ금성 근접 #클린스만 데뷔전 #시진핑 #푸틴 #실내마스크 착용 해제 #낚싯배 흡연 과태료 #유럽 서머타임
-
野 "굴종외교" 대통령실 "큰 판 못 읽고 과도한 용어로 쟁점화"
대통령실을 지난 16일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 한일정상회담과 관련한 야권의 비판에 대해 “역사의 큰 흐름을 국제 질서의 큰 판을 읽지 못하고 너무 지엽적인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
한·일 회담 성과와 과제…'관계 회복'에도 '국내 반발'은 과제
지난 16일 한일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윤석열 대통령의 '한일 관계 정상화' 프로세스가 일단락됐다. 양 정상은 향후 셔틀외교를 복원하고 협력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사진은 정상
-
[포토타임] '서해수호의 날' D-5 딸 손 잡고... 55명 영웅 추모합니다
오늘의 국내 주요 뉴스 사진(전송시간 기준)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업데이트합니다. 2023.03.19 오후 3:20 '서해수호의 날' D-5 딸 손 잡고... 55
-
[이번 주 리뷰]美 CS 발(發) 금융위기…연이은 도발 北, 한일정상회담 날엔 ICBM까지(13~18일)
3월 셋째 주 주요 뉴스 키워드는 #프리덤실드 #북한 미사일 도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한일 정상회담 #SVB 파산 #세계금융불안 #오커스(AUKUS) #양자경 #시진핑
-
"EU 짜증내고, 미국 화내고, 러시아는 분노하는" 이 나라 [지도를 보자]
“주요 혈관이 연결된 심장 모양을 한 이곳은 어디일까요?”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추가 정보를 드리자면, ■ 힌트 「 ① 메이저 20
-
3대세습·우상화 너머…깊고 쉽게 북한 알기
북한 왜 이럴까 : 도표로 정리한 북한 이슈 북한 왜 이럴까: 도표로 정리한 북한 이슈 안희창 지음 나남출판 북한 관련 서적과 논문은 무수히 많다. 최근 핫이슈로 부상하고 있
-
3대세습, 우상화...'기이함' 넘어 북한 알기 다가가는 90개 이슈[BOOK]
책표지 북한 왜 이럴까: 도표로 정리한 북한 이슈 안희창 지음 나남출판 북한 관련 서적과 논문은 무수히 많다. 최근 핫이슈로 부상하고 있는 북한 핵ㆍ미사일 문제를
-
김정은 "핵에는 핵으로 답할 것"…ICBM 쏜 뒤 공개한 사진은
노동신문은 17일 전날(16일) 화성-17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훈련을 단행했다고 밝혔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딸 김주애와 함께 훈련을 지켜본 뒤 "그 어떤 무력충돌
-
"첫 단추 잘 꿰었으니 완급 조절하며 여론 설득해야"[장세정의 직격인터뷰]
장세정 논설위원 도쿄에 벚꽃이 핀 16일 윤석열 대통령이 대한민국 정상으로는 12년 만에 일본을 방문해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와 정상회담을 갖고 한·일 관계의 새로운 출발
-
[한반도평화만들기] 한국이 던진 ‘강제징용’ 해법 “일본, 적극 호응해야”
━ 위기의 한·일관계 연속 진단 〈29〉 한반도평화만들기 정부가 지난 6일 박진 외교부 장관을 통해 강제징용 문제의 해법으로 제3자 변제안을 공식 발표한 이후 지난 열흘간
-
[중앙시평] 강제징용 문제에서 찾아야 할 교훈
위성락 전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리셋 코리아 외교안보분과장 정부가 강제징용 해법을 내놓았다. 우리 기업이 대신 변제하는 방안이다. 일본 기업의 배상을 명한 대법원의 판결과 사뭇 다
-
[시론] 징용 해법, 이젠 일본이 화답할 차례
박영준 국방대 국가안보문제연구소장 대한민국 안보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대외적 자산 중 하나가 한·미동맹이다. 그런데 한·미동맹이 원활하게 기능하기 위해서는 그 후방의 미·일 동맹에
-
[서경호 논설위원이 간다]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은 문제 해결의 끝이 아니라 시작”
━ 강제징용 해법 갈등, 어떻게 풀어야 하나 서경호 논설위원 # 11일 오후 서울 시청 광장 동편. 원내정당인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이 정의기억연대·민주노총·민변·전국민중행
-
‘대한민국, 한반도 유일 합법정부’…문 정부서 삭제 5년 만에 부활
윤석열 정부에서 처음 발간한 통일교육 지침서에 5년 전 삭제했던 ‘대한민국이 한반도 내의 유일한 합법정부’라는 표현이 부활했다. 또 ‘북한 인권’ 문제와 헌법적 가치인 ‘자유민주
-
尹정부 첫 통일교육 지침서 발간…'대한민국이 유일한 합법정부'
사진 통일교육원 윤석열 정부에서 처음 발간한 통일교육 지침서에 5년 전 삭제했던 '대한민국이 한반도 내의 유일한 합법정부'라는 표현이 부활했다. 또 '북한 인권' 문제와 헌법적
-
서울대 교수 50여명 성명 "尹정부, 굴욕적 징용 해법 철회하라"
서울대학교민주화교수협회의 이준호 생명과학부 교수(왼쪽부터)와 김백영 사회학과 교수, 김명환 의장(영문과 교수), 남기정 일본연구소 교수, 이동원 국사학과 교수가 14일 오전 서울
-
통일교육원, 통일교육 기본서 3종 발간…“북한인권 실태 강조”
사진 통일교육원 앞으로 통일교육에서 북한 인권 실태가 강조된다. 14일 국립통일교육원은 이 같은 방향으로 통일교육 기본서인 ‘2023 통일교육 기본방향’, ‘2023 통일
-
"尹, 美협조 아래 북과 만나면 좋겠다" 반세기 北전문가 갈루치
■ 긴급진단-북핵 위협 속 한반도의 길을 묻다 「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핵 위협 강도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한반도 정세가 위태롭게 돌
-
시진핑의 ‘복심’ 총리 리창 “中·美, 협력할 수 있고 해야 한다”
13일 베이징 인민대회당 3층 금색대청에서 열린 기자회견 동안 리창 신임 중국 국무원 총리가 다양한 표정으로 중국 경제 발전에 자신감을 피력하고 있다. 신경진 특파원 “중·미는
-
"한반도는 가솔린 꽉찬 지하실…모두 조심해야" CIA 출신 칼린
■ 긴급진단-북핵 위협 속 한반도의 길을 묻다 「 북한의 미사일 도발과 핵 위협 강도가 갈수록 높아지면서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이 한층 고조되고 있다. 한반도 정세가 위태롭게 돌
-
"북핵 해결 기회 두 번 놓쳐...미사일·잠수함 대대적 확충을"[장세정 논설위원이 간다]
장세정 논설위원 북한의 핵 위협과 잦은 미사일 도발에 둔감해져 기억이 희미해졌지만, 3월 12일은 북한이 1993년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를 갑자기 선언한 지 꼭 30년 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