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재단 해산' 말 아낀 일본, 실제 수순 돌입 땐 파장 클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5일(뉴욕 현지시간) 니시무라 야스토시(西村康稔) 일본 관방 부장관의 한일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은 위안부 합의나 화해치유재단 해산 관련 발언을 자세히 소개한 청와대의 브리핑과는 딴판이었다.

" 문 대통령 설명 있었지만 자세히 언급 않겠다" # 일본 정부 내부적으로는 부글부글 "합의 위반" # 아베 총리 연설서 "북한 잠재력 발휘 돕겠다" #'최대한의 압박'만 강조했던 지난해와는 달라

유엔 총회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호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유엔 총회 참석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호텔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위안부 합의에 대해선 “아베 총리는 위안부 합의의 착실한 시행이 필요하다는 취지로 말했고, 문재인 대통령으로부터는 ‘합의를 파기하지 않고 재교섭을 요구하지 않겠다’는 발언이 있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양국 관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지혜를 발휘하자는 데 양 정상이 일치했다”고 설명했다.

화해치유재단 해산 문제에 대해서도 “문 대통령이 재단의 상황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 자리에서 발언을 상세히 소개하지 않겠다”고만 했다.

강제 징용 문제에 대해서도 기자들이 ‘재판 관련 언급이 나왔느냐'고 물었지만 니시무라 부장관은 “아베 총리가 우리 나라(일본)의 기본적인 입장을 말했다. 하지만 이 문제 역시 (이 자리에서) 언급하지 않겠다”고 했다.

 이처럼 일본 정부는 전체적으로 말을 아끼는 분위기였다. 일본 언론들도 26일자 석간까지는 두 정상의 발언을 그대로 소개하는 데 그쳤다.

25일 뉴욕 유엔총회 연설을 하고 있는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로이터=연합뉴스]

25일 뉴욕 유엔총회 연설을 하고 있는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로이터=연합뉴스]

니시무라 부장관은 이날 “미래지향적인 양국 관계를 위해 곤란한 문제들을 적절하게 관리해 나가자는 데 양 정상이 의견 일치를 봤다”고 말했지만 실제로 재단이 해산 수순에 돌입하면 파장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양국 관계에 정통한 외교 소식통은 “일본 측은 재단 해체를 위안부 합의 위반이나 사실상의 파기로 해석하기 때문에 내부적으로는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다”며 “특히 올해 안에 결론이 나올 것으로 보이는 대법원의 강제 징용 피해자 판결과 함께 이 문제가 마치 쌍끌이처럼 양국 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김대중-오부치 선언(21세기의 새로운 한ㆍ일 파트너십 공동선언) 20주년을 맞아 거론됐던 문 대통령의 10월 방일 얘기가 쑥 들어간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당장은 아베 총리가 더 관심을 갖고 있는 북한과의 납치 일본인 문제, 미국과의 통상 이슈에 밀려 있는 듯 하지만 재단 해산 문제가 일본이 출연한 10억엔의 처리 방안으로까지 옮겨붙을 경우 양국관계엔 큰 악재가 될 게 분명하다.

한편 이날 문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이 적절한 시기에 일본과 대화를 하고 관계 개선을 모색해 나갈 용의를 밝혔다”고 소개하자 아베 총리는 김 위원장과의 직접 대화 의지를 재차 밝혔다.

아베 총리는 유엔 총회 연설에서도 “북한의 납치ㆍ핵ㆍ미사일 문제의 해결을 통해 불행한 과거를 청산하고 국교 정상화를 지향하는 일본의 방침에 변함이 없다”,“나는 북한의 변화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북한이 잠재력을 발휘하도록 도움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25일 뉴욕 유엔총회 연설에 나서는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로이터=연합뉴스]

25일 뉴욕 유엔총회 연설에 나서는 일본의 아베 신조 총리.[로이터=연합뉴스]

연설의 5분의 4를 북한에 대한 비판에 쏟으며 ‘대북 압박’ 목소리를 높였던 작년 연설과는 판이했다고 지지통신은 전했다.

도쿄=서승욱 특파원 sswo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