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미 상응조치는 종전선언이나 평양 연락사무소, 경제시찰단"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국이 상응하는 조치를 어느 정도 속도 있게 해 주느냐에 따라 북한의 비핵화 조치도 보다 속도를 낼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뉴욕 호텔에서 미 언론매체 FOX News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뉴욕 호텔에서 미 언론매체 FOX News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유엔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 뉴욕을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국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상응 조치라는 것이 반드시 제재 완화만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며 “종전선언을 할 수도 있고, 또는 인도적인 지원을 하거나 예술단의 교류와 같은 비정치적인 교류를 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뿐만 아니라 앞으로 영변 핵기지를 폐기하게 되면 미국 측의 장기간의 참관이 필요할 텐데, 그 참관을 위해서 평양에 연락사무소를 설치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며 “또는 비핵화 조치가 완료되고 나면 북한의 밝은 미래를 미리 보여주기 위해서 경제시찰단을 서로 교환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반드시 제재를 완화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방식으로 적대관계를 청산하고, 북ㆍ미 관계를 새롭게 수립한다는 것을 보여 줄 수 있다”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관련해선 “핵실험장, 미사일 실험장, 영변의 핵기지를 폐기하고, 또다른 기지들과 만들어진 핵무기 등도 전부 폐기하고, 이른바 불가역적 조치를 취하는 것”이라며 “이번 평양 정상회담에서 김 위원장이 말하는 완전한 비핵화라는 것은 미국이 요구하는 CVID(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라는 것과 같은 개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비핵화 조치를 하면 할수록 미국 측에서는 북한이 핵을 내려놓더라도 북한의 체제를 보장해주고 북ㆍ미 관계를 새롭게 만들어 나갈 것이란 믿음을 줘야 한다”며 “그 믿음을 북한에 줄 수 있다면 북한은 보다 빠르게 비핵화를 해 나갈 것이고, 트럼프 대통령의 1차 임기 내에 비핵화를 마치겠다라는 타임테이블도 결코 무리하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뉴욕 호텔에서 미 언론매체 FOX News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뉴욕 호텔에서 미 언론매체 FOX News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 대통령은 종전선언으로 유엔사의 지위가 변하거나 주한미군이 철수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는데 대해 “종전선언을 거쳐 평화협정이 체결될 때까지는 정전체제가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유엔사나 주한미군의 지위에는 아무런 영향이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나는 평화협정이 체결되고 난 이후에도, 심지어는 남북이 통일을 이루고 난 이후에도 동북아 전체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서 주한미군이 계속 주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종전선언 시기와 관련해서 문 대통령은 “어제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 때 충분한 논의를 했고, 앞으로 예정된 제2차 미ㆍ북 정상회담에서도 논의가 될것으로 생각한다”며 “그 회담의 결과로 종전선언이 이루어질지 여부는 알 수 없지만 미국과 북한 간의 적대관계를 청산한다는 하나의 상징으로서 종전선언이 빠른 시기에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하다는 공감대가 (남북미 사이에) 대체적으로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뉴욕 호텔에서 미 언론매체 FOX News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 파커 뉴욕 호텔에서 미 언론매체 FOX News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청와대]

문 대통령은 “북한은 비핵화가 완료되어야만 경제 제재가 완화돼서 어려운 북한 경제를 살릴 수가 있고, 트럼프 대통령으로서는 이 비핵화가 완료되어야 지금까지 누구도 하지 못했던 북한의 문제를 해결하는 아주 위대한 업적을 거둘 수 있게 된다”며 “저로서도 북한의 비핵화가 완료돼서 경제 제재가 풀려야만 남북 간에 본격적인 경제 협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국 대통령이 미국에서 보수 성향으로 분류되는 폭스뉴스와 인터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뉴욕=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