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책 발표도 안 됐는데...건설주 벌써‘휘청’

중앙일보

입력

정부의 부동산 대책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간 13일 오전. 건설업 주가가 벌써 휘청이고 있다. 집값을 과도하게 끌어올리는 ‘우회 대출’을 막고 다주택자 부동산 투기를 막는 세제 강경책이 나올 수 있다는 전망이 시장에 팽배하면서다.

이날 오전 11시 7분 현재 유가증권시장(코스피)에서 현대건설 주가는 하루 전보다 500원(0.73%) 하락한 6만8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대우건설 주가도 전일 대비 60원(1.06%) 떨어진 5580원에 거래 중이다. 다른 건설회사 주가도 하락세다. GS건설 주가는 하루 전 대비 300원(0.57%) 내린 5만2700원에, 대림산업 주가도 전일 대비 500원(0.59%) 내린 8만4200원에 거래되고 있다.

13일 정부의 전방위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건설주가 휘청이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정부의 전방위 부동산 대책 발표를 앞두고 건설주가 휘청이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9ㆍ13 부동산 대책’을 앞두고 건설주는 힘을 쓰지 못하고 있다. 과열 논란이 일고 있는 부동산 경기를 식히기 위한 정부의 전방위 대책이 나올 것이란 예상 때문이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의 이번 부동산 대책은 세제, 금융, 공급대책을 아우르는 내용으로 전망된다. 세금은 올리고, 금융대출은 죄고, 공급은 늘리는 방향이다.

현재 세제 부문 대책으로는 ▶다주택자, 초고가 주택 보유자를 대상으로 한 종합부동산세 최고세율 인상 ▶종부세 과세 대상 확대 ▶종부세 부과 기준인 공정시장가액 비율 상향 조정 ▶부동산 과열 우려 지역 주택 신규 취득 시 임대주택 등록자 양도소득세ㆍ종부세 혜택 축소 ▶1가구 1주택 양도세 비과세 요건 강화 등이 거론되고 있다.

금융 대책도 추가된다. 임대사업자 대출에 담보인정비율(LTV)을 적용하고, 임대 대출 규모 제한을 위한 임대업이자상환비율(RTI) 제도를 도입하는 안도 후보에 올라있다. 또 주택 가격 과열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는 ‘우회 대출’로서 전세대출을 제한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건설 경기는 주택 경기와 직결된다. 정부의 이번 대책 발표에 앞서 건설주가 흔들리는 이유다. 다만 부동산 경기를 잡기 위해선 공급 확대책이 따라야 한다는 점에서 건설업종에 또다른 기회가 될 수 있는 여지도 있다. 이날 건설주의 하락 폭이 1% 안팎에 그친 배경이다.

조현숙 기자 newear@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