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현장에서]폭염이 끌어올린 물가, 한발늦은 정부 대응…1년전과 판박이

중앙일보

입력

‘시금치 50.1%, 열무 42.1%, 배추 39%’

폭염이 이어지면서 채소류 물가가 크게 올랐다. 7월 시금치 가격은 한달전보다 50.1%나 뛰었다. 서울 소재 한 마트의 채소류 판매대 모습. [연합]

폭염이 이어지면서 채소류 물가가 크게 올랐다. 7월 시금치 가격은 한달전보다 50.1%나 뛰었다. 서울 소재 한 마트의 채소류 판매대 모습. [연합]

통계청이 1일 발표한 ‘7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담긴 주요 농축산물의 전월 대비 가격 상승률이다. 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며 ‘밥상 물가’가 치솟은 것이다. 벌이는 그대로인데 물가만 급등하니 서민들의 아우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

정부도 바빠졌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이날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정부는 폭염에 따른 농·축·수산물 수급ㆍ가격 동향을 살피고 대응 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배추의 경우 당분간 비축물량을 하루 100~200t 방출해 공급을 늘리기로 했다. 농협이 운영하는 하나로마트에서 배추와 무와 같은 채소는 할인 판매한다. 이와 별도로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달 18일부터 운영한 ‘고랭지 배추 수급 안정 테스크포스(TF)’를 ‘폭염 대응 농축산물 수급 안정 비상 TF’로 확대 개편했다. 배추에 국한돼 운영하던 비상 대응 조치의 범위를 전 농축산물로 확대한 것이다.

고 차관은 “폭염으로 인해 농·축산물 피해가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할 것”이라며 “필요하면 추가적인 품목별 수급 안정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이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관계부처 담당자들과 농수축산물 폭염 피해현황 및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

고형권 기획재정부 1차관이 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관계부처 담당자들과 농수축산물 폭염 피해현황 및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연합]

한 발짝 늦은 정부의 대응에 아쉬움이 남는다. 여름철 날씨 상황이 물가를 뒤흔든 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어서다. 꼭 1년 전에도 그랬다. 2017년 8월 1일에 통계청은 소비자 물가동향을 내놨고, 정부는 물가관계차관회의를 열었다. 당시 폭염ㆍ장마 영향으로 과일류가 1년 전에 비해 20.2%, 채소류는 10.1% 폭등했다. 올해와 마찬가지로 장바구니 물가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정부는 오이ㆍ호박ㆍ양파 등을 30~50% 할인가에 내놓고, 정부가 보유한 배추ㆍ무 등을 도ㆍ소매 시장에 풀어 수급을 조절했다. 이상 기후로 물가가 들썩거린 뒤에야 뒷북 대책을 내놓은 상황이 되풀이된 셈이다.

향후 물가 흐름도 심상치 않다. 사상 최악 수준이라는 지독한 더위가 언제쯤 누그러들지 현재로썬 짐작하기 어렵다. 폭염에 따른 농축산물 가격의 급등세가 이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 국내 물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국제 유가는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올 초 배럴당 60달러대 초반이던 두바이유 가격의 7월 평균 가격은 73달러까지 올랐다. 게다가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 여파로 외식비 등도 줄줄이 오르고 있다.

그런 만큼 정부는 보다 세심하게 물가를 관리해야 한다. 가뜩이나 경기가 부진한 상황에서 물가마저 치솟으면 서민들의 주머니 사정은 더 빠듯해진다. 이는 소비 부진을 한층 심화시켜 경제 전체에도 큰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폭염이 끌어올린 물가가 문재인 정부 경제정책의 핵심인 소득주도 성장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얘기다.

“이대로 가면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반되는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날 수 있다”(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교수)는 전문가들의 우려를 정부는 흘려들어서는 안 된다.

경제정책팀 하남현 기자 ha.namhyu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