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SUNDAY 탐사] 이낙연·문무일 등 약진 … 파워맨 기용 TK서 호남으로 이동

중앙선데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594호 05면

문재인 정부 1기 인사를 출신 지역으로만 보면 호남 강세가 뚜렷했다.

468명 출신 지역 분석 #서울 17.3 전남 11.8 경남 11.1% 순 #“MB 땐 경북, 현 정부는 호남 출신 #인구 비중보다 두 배 이상 등용” #기관장 등 53% 대통령과 연결고리 #오영식·이춘구 등 전문성 논란도

분석 대상인 468명의 출신 지역 비중은 서울(17.3%) > 전남(11.8%) > 경남(11.1%) >부산(9.4%) > 전북(8.3%) 순이었다. 경북과 대구는 각각 8.1%, 3.2%였다. 중앙일보 탐사팀이 2012년 분석한 이명박 정부 4년치 인사에선 경북(17.5%) > 서울(17.3%) > 경남(10.8%) > 충남(7.3%) > 전남(6.9%) 순이었다. 이명박 정부와 비교하면 호남이 약진하고 대구·경북이 줄면서 지역 불균형이 상대적으로 완화된 모습이다.

출신 고교의 비율은 전주고(4.1%)>광주제일고(3.0%)>경기고(2.4%)>부산고·대전고(2.2%) 순으로 많았다. 문 대통령이 나온 경남고(1.9%)는 그 다음이었다. 문 대통령은 대선 기간 “이명박·박근혜 정권 동안 호남 출신이라는 이유로 승진에서 배제된 인사를 구제해야 한다” “호남 차별을 철폐하는 대탕평 인사를 하겠다”고 말해 왔다.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그래픽=박춘환 기자 park.choonhwan@joongang.co.kr]

문재인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차이는 카토그램(인구 분포에 따라 지도의 부피·색깔을 달리하는 기법)으로 비교해 보면 뚜렷하다. 분석을 맡은 이대경 성균관대 통계물리연구실 연구원은 “각 지역의 인구 비례로 따져보면 이명박 정부는 경북 출신을, 문재인 정부는 전북·전남 출신을 실제 인구 비중보다 두 배 이상 등용했다”고 설명했다. 실제 국가의전서열 1, 3위인 국무총리(이낙연, 전남 영광)와 사회부총리(김상곤, 광주)가 호남 출신이고, 검경의 양대 수장인 문무일 검찰총장(광주)과 민갑룡 경찰청장(전남 영암)도 호남이다.

법조인을 선호한 전임 박근혜 정부와 달리 문재인 정부 법조인 출신은 6.8%로 정당인(12.5%)보다도 낮은 비중이었다. 이낙연 국무총리(4선), 김부겸 행안부 장관(4선) 등 내각 구성원 19명 중 8명이 국회의원 출신이다. 청와대 비서관급 이상 78명 중 학생·노동운동 경력이 확인된 사람은 26명(32.1%)이다. 임종석 비서실장, 한병도 정무수석, 정태호 일자리수석, 윤영찬 국민소통수석, 윤건영 국정상황실장 등이 대표적 인물이다. 보도 등으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하면 실제 학생·노동운동 경력자는 이보다 많을 것으로 보인다.

참여연대·민변 등 재야 경험이 있는 인사는 468명 중 91명(19.3%)이었다. 참여연대는 청와대, 경실련과 민변은 공공기관에 많았다. 468명 중 여성은 62명(13.2%)에 그쳤다. 여성 장관은 전체의 27.8%(18명 중 5명)로 ‘30% 여성 장관’ 공약은 거의 지켜진 셈이지만, 공공기관의 장과 감사 중엔 14%(265명 중 37명)에 불과했다.

공공기관의 장과 감사 265명 중 141명(53.2%)이 문 대통령과 연결고리가 한 가지 이상 겹쳤다. 오영식 한국철도공사 사장, 이춘구 국민연금공단 상임감사, 배외숙 사학연금공단 상임감사 등은 임명 당시 전문성 논란이 일었다. 사회공공연구원(PPIP)은 2016년 박근혜 정부(2013~2016년)의 공공기관 인사 36.2%가 대선캠프, 새누리당, 대구·경북 등으로 박 대통령과 연결된 ‘낙하산 인사’라는 분석을 했었다.

탐사보도팀=임장혁·박민제·이유정 기자,
안희재 인턴기자 deepe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