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동창리 미사일발사장 해체 착수···미국의 화답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북한이 탄도미사일 실험장인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을 해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가 23일(현지시간) 밝혔다.
보도가 사실일 경우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6주 만에 북한이 처음으로 구체적 약속 이행에 나서는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북미정상회담 직후 기자회견에서 "북한이 곧 미사일 엔진 시험장을 폐쇄하기로 약속했다"고 말한 바 있다. 회담 한달 반이 지나도록 지지부진한 북미 협상이 탄력을 받을 지 주목된다.

38노스, 위성사진 분석 통해 "로켓엔진 시험대는 완전 철거돼" # "중요한 첫 걸음", "발사장 해체로는 대량생산 시스템 못 바꿔" #CNN, "미국의 화답 기다리는 조치...평화협정 동의가 관건"

지난 20일 촬영된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모습. 발사 직전 발사체를 조립하는 궤도식(rail-mounted) 구조물과 액체연료 엔진 개발을 위한 로켓엔진 시험대 등의 철거가 시작된 것을 볼 수 있다. 중앙 좌측에 궤도식구조물 빌딩이 보인다. [38노스]

지난 20일 촬영된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모습. 발사 직전 발사체를 조립하는 궤도식(rail-mounted) 구조물과 액체연료 엔진 개발을 위한 로켓엔진 시험대 등의 철거가 시작된 것을 볼 수 있다. 중앙 좌측에 궤도식구조물 빌딩이 보인다. [38노스]

지난 22일 촬영된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모습. 이틀만에 사진 중앙의 궤도식 구조물이 해체돼 철거되고, 중앙 하단의 시험용 발사대 상부 구조물이 완전히 철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궤도식 구조물에 차량의 모습도 보인다. [38노스]

지난 22일 촬영된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모습. 이틀만에 사진 중앙의 궤도식 구조물이 해체돼 철거되고, 중앙 하단의 시험용 발사대 상부 구조물이 완전히 철거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궤도식 구조물에 차량의 모습도 보인다. [38노스]

38노스는 이날 '북한, 서해위성발사장 핵심시설 해체 시작(begins dismantling)'이란 제목의 보고서에서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의 서해위성발사장의 주요 구조물의 해체가 시작됐다고 분석했다.

북한 군사문제 전문가인 조지프 버뮤데즈 연구원은 지난 20~22일에 촬영된 상업위성사진을 판독한 결과 발사 직전 발사체를 조립하는 궤도식(rail-mounted) 구조물, 액체연료 엔진 개발을 위한 로켓엔진 시험대의 해체작업이 시작됐고, "해체는 2주일 정도 전에 시작된 듯 하다"고 추정했다. 특히 버뮤데즈 연구원은 "20일 사진에선 부분적으로 해체됐던 시험대가 22일의 촬영 사진에선 완전하게 해체된 것으로 보인다(completely dismantled)"고 지적했다. 위성사진을 보면 숲속에 둘러싸인 발사시설에 복수의 구조물이 흩어져 있으며, 그 일부에서 해체가 시작된 모습도 엿볼 수 있다.

38노스는 해체 현장에 대형 크레인과 차량이 배치됐으며, 22일 촬영사진에선 엔진 실험장에 씌어있던 가림막도 치워졌다. 건물 한쪽 지붕 모서리 부분이 완전히 철거된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지하의 운반설비도 일부 노출됐다. 다만 연료·산화제 벙커와 주 처리 건물, 발사탑은 아직 해체가 진행되지 않은 상태다.

지난 22일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모습. 사진 중앙에 크레인과 해체된 구조물들이 바닥에 놓여 있는 모습이 보인다. 그 위로는 부분적으로 해체된 탄도미사일 조립용 건물이 보인다. 다만 사진 왼쪽으로는 연료, 산화제 저장시설이 해체되지 않은 채 그대로 있는 모습도 확인된다. [38노스]

지난 22일 북한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모습. 사진 중앙에 크레인과 해체된 구조물들이 바닥에 놓여 있는 모습이 보인다. 그 위로는 부분적으로 해체된 탄도미사일 조립용 건물이 보인다. 다만 사진 왼쪽으로는 연료, 산화제 저장시설이 해체되지 않은 채 그대로 있는 모습도 확인된다. [38노스]

38노스 공동설립자인 조엘 위트는 트위터를 통해 "북한이 ICBM 개발 위장용으로 의심받는 우주발사(space launch) 프로그램을 포기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이 같은 움직임은 올바른 방향으로 한 발을 내딛은 것에 불과하지만 중요한 첫 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미 과학자연맹(FAS) 아담 마운트 선임연구원은 이날 CNN에 "북미 간 대화를 촉진하는 데 고무적인 것이긴 하나 이(서해위성발사장 해체) 자체가 군축이나 군사적으로 북한에 제한을 가하는 중요 단계는 아니다"라며 "북한의 성공적 (발사)시험 프로그램이 지금은 핵·미사일 시스템의 대량 생산으로 이미 전환돼 있어 발사장 핵심시설을 해체한다해도 이런 계산법을 바꿀 수 없다"고 지적했다.

2012년 12월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서해위성발사장'에서의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모습.

2012년 12월 조선중앙통신이 보도한 '서해위성발사장'에서의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모습.

CNN은 소식통을 인용, "북한의 이번 조치는 미국의 '화답'을 기대하는 것"이라며 "향후 미·북 협상은 미국이 '과감한 조치', 그리고 (북한이 원하는) 평화협정에 동의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분석했다.

미 국무부 대변인실은 이날 북한의 평화협정 전환 요구에 대한 의견을 묻는 본지의 질문에 "이미 밝힌대로 우리는 북한이 비핵화했을 때 정전협정을 (평화협정으로) 대체하는 걸 목표로 하는 평화체제 구축에 전념하고 있다"고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워싱턴=김현기 특파원 luckyma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