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DMZ 내 병력·장비 철수, JSA 비무장화 추진"

중앙일보

입력

북한은 정전협정 후 폭격을 대비해 비무장지대(DMZ)와 접경지역의 초소 및 군사시설을 지하화하고 위치를 숨겨왔다. [연합뉴스]

북한은 정전협정 후 폭격을 대비해 비무장지대(DMZ)와 접경지역의 초소 및 군사시설을 지하화하고 위치를 숨겨왔다. [연합뉴스]

국방부는 24일 비무장지대(DMZ) 안 감시초소(GP)의 병력과 장비를 시범적으로 철수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국회 국방위원회 현안보고 자료에서다. 남북 정상이 지난 4월 27일 판문점 선언에서 ‘앞으로 비무장지대를 실질적인 평화지대로 만들어 나가자’고 합의한 뒤 국방부가 처음으로 DMZ의 평화지대화 실현 조치를 공개한 것이다.

국방부에 따르면 판문점 선언을 이행하기 위해 DMZ 내 GP 병력과 장비를 시범 철수한 뒤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추진한다는 것이다. DMZ의 평화지대화는 군사분계선(MDL)을 기준으로 남북 2㎞씩의 구역(DMZ) 안에서 병력ㆍ화기ㆍ지뢰를 모두 빼내는 조치다. 남북한은 현재 DMZ의 GP에는 기관총 등 중화기를 반입해 놓고 있다.

GP를 시범적으로 철수한 뒤 DMZ 안의 역사 유적과 생태 조사 등과 연계해 전면적인 철수 방안도 추진할 것이라는 게 국방부의 설명이다.

국방부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의 비무장화도 추진할 방침이다. 정전협정 정신에 근거해 경비 인원을 줄이고 개인ㆍ중화기를 빼내며 자유왕래를 복원하겠다는 것이다. 1976년 북한의 도끼 만행 이후 판문점에도 군사분계선(MDL)이 그어졌다.

국방부는 또 DMZ 내 남ㆍ북ㆍ미 공동유해발굴을 추진할 계획이다. 필요하다면 북한 지역의 북ㆍ미 유해발굴에 한국이 참여하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밖에 서해 북방한계선(NLL) 일대의 평화수역화와 관련 “서해 NLL을 기준으로 평화수역 설정 방안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라며 “앞으로 남북 공동어로구역 설정도 추진하겠다”고 국회에 보고했다.

이철재 기자 seaja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