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기성용 가격한 태클, 분명한 파울···멕시코 행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3일 오후(현지시간) 러시아 로스토프나노두 로스토프아레나에서 열린 2018 러시아 월드컵 F조 조별리그 2차전 대한민국과 멕시코의 경기에서 기성용이 상대 수비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23일 오후(현지시간) 러시아 로스토프나노두 로스토프아레나에서 열린 2018 러시아 월드컵 F조 조별리그 2차전 대한민국과 멕시코의 경기에서 기성용이 상대 수비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연합뉴스]

국제축구연맹(FIFA)은 2018 러시아월드컵부터 공정한 판정을 위해 비디오판독시스템(VAR)을 도입했다. 하지만 오락가락하는 적용 기준 탓에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국제축구연맹(FIFA)은 2018 러시아 대회를 통해 월드컵 무대에 처음 도입된 비디오 판독 시스템(VAR)의 초반 운영에 대해 “VAR 시스템의 성공적인 시행과 판정 수준의 향상에 크게 만족한다”고 평가했다.

24일 새벽(한국시간) 러시아 로스토프 아레나에서 열린 한국과 멕시코의 F조 2차전에서도 페널티킥이 나왔다. 장현수가 페널티박스 안에서 과르다도의 크로스를 막는 과정에서 논란의 슬라이딩을 했고 이때 공에 손이 맞았다. 카를로스 벨라가 페널티킥을 성공시켰다. 이번 대회에서 나온 14번째 페널티킥이다. 이로써 4년 전 브라질 대회의 조별리그와 토너먼트에서 나온 총 페널티킥 횟수(13개)를 뛰어넘었다. 조별리그가 아직 끝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브라질 대회의 기록을 넘어섰다.

한국과 멕시코전에서 VAR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 멕시코가 역습을 전개하기에 앞서 기성용이 파울을 당하는 장면이 있었기 때문이다. 기성용이 멕시코 미드필더 에레라에게 다리를 차이면서 볼을 빼앗겼고 이 상황이 골로 연결되는 역습으로 이어졌고 한국은 멕시코에 1-2로 패했다.

기성용이 파울을 당하는 장면은 골과 직접 연관이 되는 반칙 장면이었다. 이는 VAR 적용 대상에 포함됐다. 이에 실점 직후 기성용이 거세게 항의했지만, 심판은 고개를 저었고, 끝내 비디오 판독도 진행되지 않았다.

신태용 한국 감독은 두 번째 실점 장면에 대해 판정에 대한 아쉬움을 토로했다. 신 감독은 “두 번째 골은 파울이지 않았나 생각한다. 우리가 볼 때는 기성용이 분명히 다리를 차이지 않았나 싶다. 다리를 맞았으면 분명 파울인데 주심이 인플레이시킨 것은 공만 찼다는 판단이었다. 결국 골을 허용했다”고 말했다.

영국 스포츠 전문 매체 스카이스포츠 역시 판정 논란을 지적하며 “에레라가 기성용을 가격한 태클은 분명한 파울이다”며 “하지만 주심은 VAR 판독을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AFP 통신도 “헥토르 에레라가 분명하게 발을 걸었지만 반칙으로 선언되지 않은 행운 덕분에 득점으로 이어졌다”고 평가했다.

이번 대회에 본격적으로 도입된 비디오 판독 VAR 시스템은 주심마다 일정하지 못한 기준으로 적용하면서 형평성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배재성 기자 hongodya@joongna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