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철, 뉴욕 입성…美국무부, 공항부터 ‘특급의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뉴욕 맨해튼의 속소에 도착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연합뉴스]

미국 뉴욕 맨해튼의 속소에 도착한 김영철 북한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 [연합뉴스]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북·미 정상회담 막판 조율을 위해 미국 뉴욕 존 F. 케네디(JFK) 국제공항에 30일(현지시간) 오후 2시쯤 도착하면서 미국 방문 일정에 들어갔다.

이날 김 부위원장의 항공기 도착과 맞물려 6~7대의 검은색 세단과 경찰 차량이 계류장으로 들어가는 장면이 멀리서 목격됐다. 뒤이어 1층 입국장 또는 2층 출국장 한쪽 편의 ‘VIP 통로’에서 진을 치고 있었던 각국 취재진은 접근이 원천 봉쇄됐다.

외교가의 한 관계자는 “계류장에서 직접 에스코트하는 것은 통상 국가원수급에게 제공되는 것”이라며 “미 국무부기 김 부위원장의 의전에 특별히 신경 쓰고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오후 3시 30분쯤 ‘밀레니엄 힐튼 유엔플라자 호텔’에 모습을 드러냈다. JFK공항과 맨해튼 호텔 간 거리를 감안하면 곧바로 직행한 것으로 보인다. 숙소는 유엔본부 및 주유엔 북한대표부와 인접한 곳으로, 뉴욕을 찾는 북한 고위 당국자가 자주 사용하는 곳이다.

경호 차량의 호위를 받으면서 숙소에 도착한 김 부위원장은 취재진의 쏟아지는 질문에는 침묵으로 일관했다. 북한 대표부 관계자는 취재진의 쏟아지는 질문에 “워싱턴과 평양 사이에 이뤄지는 사안이라 우리는 아는 바 없다”, “대표단이 도착해야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할 것 같다”는 답변으로 일관했다.

김영철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30일 오후 베이징에서 미국 뉴욕으로 가는 항공기에 탑승했다. 사진은 김영철 부위원장이 경호원과 함께 뉴욕행 CA981편 항공기에 타는 모습. [연합뉴스]

김영철 노동당 대남담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이 30일 오후 베이징에서 미국 뉴욕으로 가는 항공기에 탑승했다. 사진은 김영철 부위원장이 경호원과 함께 뉴욕행 CA981편 항공기에 타는 모습. [연합뉴스]

김 부위원장은 이날 저녁 맨해튼의 모처에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과 만찬할 예정이다.

김 부위원장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복심’으로 꼽히는 핵심 인물로, 2000년 10월 조명록 당시 국방위 제1부위원장 겸 군총정치국장(인민군 차수)의 워싱턴DC 방문 이후 18년 만에 미국을 방문한 북한 최고위급 인사다.

폼페이오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두 차례에 걸쳐 방북, 김정은 위원장을 면담했던 것에 비춰 김 부위원장 역시 김 위원장의 사실상 특사 자격으로 ‘친서’를 휴대했을 가능성이 점쳐진다.

폼페이오 장관과 김 부위원장은 그동안 진행돼온 양국 간 판문점·싱가포르에서의 접촉을 토대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와 미국 측의 체제안전 보장을 비롯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 간 정상회담 핵심의제와 일정 등에 대해 최종 담판을 벌일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 장관과 김 부위원장의 ‘뉴욕 담판’으로 지난 24일 트럼프 대통령의 취소 발표로 한때 위기에 빠졌던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의 뚜렷한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당초 예정됐던 ‘6·12 싱가포르’ 정상회담을 불과 13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복심’들이 최종 담판을 벌이는 것이다. 그동안 두 차례 방북했던 폼페이오 장관과 김 부위원장의 이번 만남은 세 번째로,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 정상회담 취소 발표 이후에는 첫 만남이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