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다롄회담, 북측이 제안” … 김정은, 시진핑에 SOS 요청한 셈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중국 다롄을 떠난 지 5시간 만인 8일 오후 9시30분(한국시간)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긴급통화를 하고 북핵 해법을 논의했다. 통화 후 미·중 두 나라가 내놓은 발표문은 내용도 결도 달랐다. 중국 외교부는 ‘단계적 행동’을 강조했지만 백악관 발표문에는 이 내용이 빠졌다. 백악관 발표문에 담긴 “북한 핵과 미사일의 영구 폐기까지 대북제재의 계속 이행” 역시 중국 측 발표문에는 담기지 않았다.

트럼프·시진핑 통화 뒤 다른 발표 #미 “영구 비핵화” 중 “단계적 행동”

미·중 정상이 북핵 폐기 절차에서 의견 일치를 보는 데 실패했다는 방증이다. 미국은 북·중의 ‘단계적 행동’에, 중국은 미국의 ‘영구 폐기와 대북제재 지속’에 이견이 있었음을 암시한다. 특히 중국이 대북 제재의 계속 이행 여부를 발표하지 않은 점은 대북제재 완화를 놓고 양국 사이에 논쟁이 있었다고 볼 수 있어 주목된다.

미국 백악관은 통화 직후 “두 지도자는 한반도의 최근 상황, 시 주석과 북한 김정은의 만남을 포함한 상호 관심사를 토론했다”며 “트럼프 대통령과 시 주석은 북한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영구적으로 폐기할 때까지 대북제재 계속 이행의 중요성에 동의했다”고 짤막하게 발표하는 데 그쳤다.

관련기사

같은 시간 중국 외교부는 미국보다 다소 긴 결과문을 발표했다. 발표문은 “양국 정상이 한반도 정세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며 “시 주석은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의 입장을 거듭 천명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북·미 정상회담을 지지한다고 강조했고, 북·미 양측이 서로 마주 보고, 상호 신뢰를 쌓으며, 단계로 행동을 나눠, 회담과 협상을 통해 각각의 우려를 해결하고, 북한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고려하여, 함께 한반도 문제의 정치적 해결 과정 추진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다롄 회동은 북한이 먼저 제안한 것으로 밝혀졌다. 겅솽(耿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9일 정례브리핑에서 중국의 김 위원장 초청 여부를 묻는 말에 “이번 방문은 북측이 제안했다”고 답했다. 북·미 회담을 앞둔 북한이 중국에 공동 대응을 요청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베이징=신경진 특파원 shin.kyung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