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외무성, ‘한국은 가장 중요한 이웃 나라’ 표현 삭제

중앙일보

입력

이수훈 주일 대사(오른쪽)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이수훈 주일 대사(오른쪽)와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 [연합뉴스]

일본 외무성 문서에서 한국 수식 표현이 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15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일본 외무성이 최근 홈페이지에 올린 한국에 대한 기술에서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 나라’라는 표현이 빠졌다.

최근 외무성은 홈페이지에 올린 ‘양국 관계’라는 문서에는 한국에 대한 별다른 수식어 없이 “한일 사이에는 곤란한 문제가 있지만 이를 적절히 관리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진행해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진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만 기술했다.

아베 총리는 2016년과 2017년 시정연설에서 “한국은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 나라”라고 했지만, 올해는 별다른 수식어 없이 “문재인 대통령과 지금까지 양국 간 국제 약속, 상호 신뢰 축적 위에 미래지향적으로 협력 관계를 심화하겠다”고만 말했다. 일본 외무성이 한국 수식 표현(‘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 나라’)을 삭제한 것도 아베 신조 총리의 시정연설과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아일보는 “이는 문 대통령이 2015년 한일 일본군 위안부 합의 과정을 검증하고 그것이 ‘잘못된 합의’라고 규정한 것에 대한 불쾌감이 반영된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고 설명했다.

앞서 아베 총리는 취임 직후인 2013년과 2014년에는 한국을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 가장 중요한 이웃 나라”라고 했다. 이때 외무성 홈페이지 기술에도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이란 표현이 포함돼 있었다.

하지만 한일 관계가 악화하고 가토 다쓰야 전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이 한국 검찰이 기소하자 아베 총리는 2015년 시정연설에서 ‘기본적 가치와 이익을 공유하는’이란 말을 빼고 “가장 중요한 이웃 나라”라고만 표현했다. 당시 외무성도 이를 그대로 따라 썼다.

이후 2015년 말 한일 위안부 합의가 이뤄지고 가토 전 지국장이 무죄 판결을 받자 2016년 외무성 홈페이지엔 다시 ‘전략적 이익을 공유하는’이란 수식어가 붙기 시작했다. 그러나 이번엔 ‘가장 중요한 이웃 나라’라는 표현까지 전부 삭제했다.

한편, 외무성 북동아시아과가 작성하는 ‘양국 관계’ 문서는 2개월마다 수정되는데, 일본 정부의 공식 견해를 대내외에 알리는 공식적 의미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