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인 김병로, 한국법 100년 역사 가장 압도적 영향 준 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7면

저서 『가인 김병로』를 펼쳐보이며 웃고 있는 한인섭 서울대 법학대학원 교수.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저서 『가인 김병로』를 펼쳐보이며 웃고 있는 한인섭 서울대 법학대학원 교수. [권혁재 사진전문기자]

그의 웃음에서 홀가분함이 배어 나왔다. 법무·검찰개혁위원회 위원장이라는 서슬 퍼런 직함이 무색해지는 웃음이었다. 한인섭(59)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그는 벽돌처럼 묵직한 책을 들고 숙제 마친 아이 모양 맑게 웃었다.

920쪽 전기 펴낸 한인섭 서울대 교수 #‘판결문은 추운 방서 손 불며 써야’ #가인의 진면목 극적으로 드러내 #“선생 생애만 알아도 삶 달라질 것”

“이렇게 오래 걸릴 줄 몰랐어요. 알았으면 못했지. 꿈에서도 선생을 뵀으니까. 잠꼬대한다고 아내가 깨우기도 했어요.”

김병로

김병로

꼬박 10년이 걸렸다고 했다. 한 교수가 대한민국 초대 대법원장 가인 김병로(1887∼1964·사진)의 생애를 920쪽에 달하는 『가인 김병로』(박영사)로 복기하는 데 걸린 시간이다.

“가인은 한국 법 100년 역사에서 가장 우뚝하고 압도적인 영향을 주신 분입니다. 지금도 ‘가인 선생이 말씀하시길’이라고 말을 여는 법률가가 많습니다. 선생의 업적 80∼90%가 법률과 관련한 것입니다. 가인의 인생과 업적을 좇는 것은 법률가로서 당연합니다.”

가인은 대한민국 법률의 초석을 닦은 법조계의 어른이다. 일제강점기에는 ‘사상변호사’로 활약했다. 안창호·여운형·박헌영 등 좌우익 가리지 않고 독립운동가들을 변론했다. 1957년 대법원장에서 물러난 뒤에는 이승만 정부를 비판하는 데 앞장서기도 했다. 58년 경향신문이 폐간됐을 때 가인은 “앞으로 민주주의라는 말도 없을 것 같이 생각된다”는 글을 발표했다. 선생의 아호 가인(街人)은 ‘나라를 되찾기 전에는 방황하는 거리의 사람’이라는 뜻이다.

“우리 역사에서 법률가는 주로 권력 주변에 있었습니다. 주역도 아니었고, 말하자면 부역이었죠. 그 반대편에 가인이 있었습니다. 우리 법 역사에서 법률가로서 본령을 추구하면서도 인간으로서 바로 선 거의 유일한 인물이었습니다.”

가인의 삶은 선공후사(先公後私)가 아니라 지공무사(至公無私)의 정신으로 요약된다. 사생활이 아예 없었다는 뜻이다. 공사의 구분이 유난히 엄격했다. 이를테면 선생의 가족 중에서 대법원장 관용차를 타본 사람은 없었다. 손자(김종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군 면제를 받을 수 있었지만 현역으로 근무했다. ‘판사는 가난해야 해. 판결문은 추운 방에서 손을 혹혹 불어가며 써야 진짜 판결이 나오는 거야(547쪽).’ 한 교수가 가인의 삶을 가장 잘 드러내는 대목이라며 읽어준 구절이다.

“법률가로서 가인의 업적은 우리의 기본 법률을 만들었다는 데 있습니다. 형법·형사소송법·민법 등의 초안을 잡은 것이 아니라 선생이 직접 조항을 썼습니다. 민법 1조부터 1000조까지 손으로 다 썼습니다. 부산 피란생활 중이었습니다. 병에 걸려 왼쪽 다리를 절단한 몸이었지요.”

책은 ‘가인의 생애를 중심으로 쓴 한국 근현대사’라 할 만큼 내용이 방대하다. 한 교수가 1차 자료를 뒤져 가인의 인생과 업적을 재구성했다. 32∼42년 항일변호사로 활동했던 기록은 새로 찾아낸 것이다. 책값은 3만원이다. 한 교수가 출판사를 설득했다. 일반인도 가인의 삶을 알기를 바라는 마음에서였다.

“이 책은 법률가에게 자세를 가다듬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입니다. 일반인은 이 책을 통해 이런 삶도 있었다고 알게 되겠지요. 가인처럼 살라는 얘기는 아닙니다. 가인처럼 살다 간 사람이 있었다는 것만 알아도 우리 인생은 영향을 받을 것입니다.”

가인으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주인공이 앞에서 웃고 있었다. 독자로서 귀한 것은, 가인의 강직했던 생애보다 가인의 삶을 기록하기 위해 한 법학자가 기꺼이 바친 세월일지 모른다.

손민호 기자 ploves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