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난 완화, 8년 9개월 만에 최저…강남도 5년 전 수준

중앙일보

입력

지난 9일 이날 오후 서울 서대문구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지난 9일 이날 오후 서울 서대문구의 아파트 단지 모습. [연합뉴스]

수도권 입주 물량이 늘어남에 따라 주택 구매로 돌아선 세입자들이 늘어나면서, 홀수 해마다 부동산 시장에서 대두했던 ‘전세 대란’ 문제가 올해는 잠잠한 모습이다.

홀수해마다 전세난 극심했으나 올해는 ‘여유’ # ‘전세대란은 옛말’…넘치는 입주물량 때문

13일 KB국민은행의 주간 주택시장동향 자료에 따르면 전국 전세수급지수는 이달 6일 기준 125.7로 집계돼, 2009년 2월 9일(122.4) 이후 약 8년 9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전세수급지수는 전세 수요 대비 공급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0∼200 범위에서 100이 수요와 공급 균형을 이룬 것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공급 부족을, 낮을수록 수요 부족을 뜻한다.

지역별로는 그간 경기도로 밀려나는 전세 난민을 양산해오던 서울의 전세수급지수가 5년 5개월 만에 최저 수준인 137.2로 떨어졌다. 서울의 전세수급지수는 2013년 9월과 2015년 3월 각각 최고 수치인 200에 육박해 극심한 전세 공급 부족 상태였다.

상대적으로 전세 수요가 풍부한 강남만 따로 떼어놓고 보면, 강남의 전세수급지수는 6일 기준 141.2로 역시 2012년 7월 2일(141.0) 이후로 5년 4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일부 부동산 전문가들은 올해 경기도 입주물량이 12만7000여 가구에 이르고 특히 하반기에만 9만여 가구가 쏟아진 것이 전세시장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했다.

한영혜 기자 han.younghy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