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이후 경기장 운영 연 101억원 적자 예상

중앙일보

입력

2018 평창겨울올림픽 G-100일을 앞두고 지난달 28일 빙상경기 개최 도시인 강릉시 도심에서 2018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한복 퍼레이드가 펼쳐지고 있다. [연합뉴스]

2018 평창겨울올림픽 G-100일을 앞두고 지난달 28일 빙상경기 개최 도시인 강릉시 도심에서 2018명이 참가하는 대규모 한복 퍼레이드가 펼쳐지고 있다. [연합뉴스]

2018평창겨울올림픽 이후 강원도가 관리해야 하는 경기장 운영에 연간 100억원이 넘는 적자가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강원도가 도의회에 제출한 행정감사자료에 따르면 보조경기장을 포함한 13개 경기장 가운데 도가 관리해야 하는 7개 시설 운영수지 분석결과 연간 101억3100만원의 적자가 발생한다고 추산됐다.

정선 알파인경기장이 36억8200만원으로 예상 적자가 가장 큰 시설로 꼽혔다. 운영비용은 106억8200만원인 반면 운영수익은 70억원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은 32억5400만원 운영비용에 운영수익은 10억원으로 22억5400만원, 강릉하키센터는 28억300만원 운영비용에 운영수익은 6억6000만원으로 21억4300만원 적자를 예상했다.

강원도개발공사가 운영하는 스키점프·바이애슬론·크로스컨트리 3개 시설 적자액은 11억4300만원, 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 예상 적자액은 9억900만원이다.

스피드스케이팅·강릉하키·슬라이딩센터·스키점프 등 전문체육시설은 일반인 활용이 어려워 운영적자가 불가피한 것으로 내다봤다.

도는 국민체육진흥법과 동계올림픽 특별법 개정을 통해 다각적 사후활용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전문체육시설인 스피드스케이팅·강릉하키센터·슬라이딩센터·스키점프 등 4개 시설을 국가가 관리할 수 있도록 국민체육진흥법을 개정해 사후관리 방안을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관리 주체가 이미 확정된 시설의 소유권 이전을 골자로 한 동계올림픽 특별법 개정도 추진한다. 대학 내에 설치했거나 관리 주체를 확정한 관동하키센터와 쇼트트랙 보조경기장, 슬라이딩센터가 대상이다.

채혜선 기자 chae.hyese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