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최경환·홍준표·김무성 온다, 보수재편 수퍼위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보수 재편 분수령, 야권 키맨 서청원-홍준표-김무성 귀국 시작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의 향후 행보가 분수령을 맞는다. 서청원 의원이 26일 귀국한 데 이어 국내를 비웠던 홍준표 한국당 대표와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 등 ‘키맨’들이 27일 오후부터 잇따라 귀국한다. 한국당의 당내 내홍과 한국당-바른정당의 통합 문제의 결론도 임박하게 됐다.

서청원, 녹취록 공개 여부 등 관심 #"정확한 팩트 말할 기회 올 것" #김무성, 보수통합 문제 결론 준비 #홍준표, 당내 과제 산적 #친박 의원들 반발 수습도 관건

①서청원 의원, 녹취록 공개할까=홍 대표가 탈당을 요구하고 있는 서청원 의원은 26일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를 마치고 귀국했다. 관심이 쏠리는 건 서 의원이 출국 전 밝힌 성완종 리스트에 관한 홍 대표와의 통화 내용 공개 여부다. 서 의원은 지난 22일 기자회견을 열어 “(홍 대표가) 성완종 의원 관련 검찰 수사 과정에서 나에게 협조를 요청한 일이 있다”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 서청원 의원이 26일 해외 국정감사 일정을 마치고 일본에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서청원 의원이 26일 해외 국정감사 일정을 마치고 일본에서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에 홍 대표는 “녹취록이 있다면 공개해 내가 회유를 했는지 아니면 거짓증언을 하지 말라고 요구했는지 판단을 한번 받아보자”고 반박한 상태다. 정치권에서는 “서 의원이 홍 대표 귀국 전후(28일)로 녹취록을 공개할 수도 있다”는 말이 돌기도 했다. 서 의원은 귀국후 “내일이나 모레가 오면 어차피 제가 한번 정확한 입장을, 팩트를 말씀드릴 기회가 오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추가 대응을 시사했다.

서 의원과 최경환 의원이 홍 대표에 맞서 친박계를 다시 규합할지도 관건이다. 최 의원은 27일 오후 귀국한다. 최 의원 역시 ‘탈당 권유’라는  징계를 받은 뒤 “끝까지 싸워나갈 것”이라고 한 상태다. 서 의원은 친박 의원들과 의견 교환을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다들 외국에 나가 있고 저도 외국에서 국제전화할 여유는 없었다”고 답했다.

②김무성 의원, 보수통합 결론낼까=27일 오후에는 김무성 바른정당 의원이 귀국한다. 김 의원이 귀국하면 바른정당 통합파 의원들은 회동을 갖고 탈당 시점 등을 결정한 가능성이 크다. 통합파는 홍 대표의 친박청산에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이유로 전당대회 전 탈당을 모색하고 있다.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이 1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부 등에 대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정당 김무성 의원이 12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외교부 등에 대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에게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합파는 국민의당과의 통합 논의 무산 등의 과정을 거치며 유승민 의원을 핵으로 한 자강파의 분위기가 한풀 꺾였다고 보고 있다. 통합파의 황영철 의원은 “김무성 의원이 귀국하면 국감 종료 전이라도 통합파가 모여 논의를 할 것”이라며 “보수통합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공감대가 넓어졌다”고 전했다.

김 의원 측은 당초 전당대회 후보 등록이 시작되는 26일을 당내 자강파 설득의 마지노선으로 잡아왔다. 전당대회 국면이 본격화되면 당 대 당 통합 논의가 사실상 물건너 간다는 전망 때문이었다. 현재 바른전당 전당대회는 유승민 의원 등 자강파 인사 6명만 출마 의사를 밝혔다. 유승민 의원은 지난 22일 기자회견에서 “김 의원은 ‘반기문 대통령’을 위해 바른정당을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분으로, 저와는 생각의 차이가 크다”며 “저는 제 갈 길이 있고 그분은 그분의 갈 길이 있다”고 말했다.

③홍준표 대표, 친박 내홍 수습할까=홍준표 한국당 대표는 4박5일의 방미 일정을 마친 후 28일 오후 귀국한다. 홍 대표 앞에 놓인 과제는 만만치 않다. 우선 박근혜 전 대통령의 출당 문제를 결론 내야 한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26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열린 재학생들과의 간담회를 마친 뒤 셀카를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표가 26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조지타운대학교에서 열린 재학생들과의 간담회를 마친 뒤 셀카를 촬영하고 있다. [연합뉴스]

박 전 대통령 출당 문제는 내달 2일 이후 열린 최고위에서 결정된다. 박 전 대표의 출당 문제가 표결로 결론이 날 경우 최고위원 9명 가운데 5명이 찬성해야 한다. 하지만 당내에서는 이미 최고위 내에서 박 전 대통령의 출당에 부정적인 의견을 가진 최고위원이 5명 정도 된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홍 대표는 귀국 후 최고위원들을 만나 설득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표결 절차를 거치지 않은 자동 출당 카드를 꺼낼 수도 있다. 홍 대표 측 이종혁 최고위원은 “박 전 대통령 출당 문제는 표결로 처리할 사안이 아니다”고 말했다.

하지만 최고위 내 반발이 심할 경우 홍 대표의 리더십에도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다. 류석춘 혁신위원장은 26일 라디오에서 “홍 대표의 정치적 생명이 걸려 있는 일”이라며 “내년 지방선거를 이끌어야 되는데 이 문제로 흔들리면 앞으로 공천이나 여러 민감한 문제들에 대해서 어떻게 리더십을 행사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현재 친박 의원들은 박 전 대통령과 서청원ㆍ최경환 의원의 출당 문제를 받아들일 수 없다고 공개 반발하고 있다. 26일 국정감사 보이콧을 논의하는 의원총회 자리에서도 김진태ㆍ이장우 의원 등이 이들의 출당에 반대하는 발언을 했다고 한다. 김진태 의원은 “홍 대표의 사당화가 우려된다. 홍 대표는 중대사안을 의원들에게 물어보지도 않고 마음대로 결정하느냐”고 말했다. 친박 의원들이 “당을 뛰쳐나간 바른정당 일부 의원들을 받기 위해 박 전 대통령과 서청원ㆍ최경환 의원을 출당 시키는 건 문제가 있다”고 반발하고 있는 만큼 바른정당과의 통합 문제도 정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안효성 기자 hyoz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