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집줄께 새집다오...서대문구의 '일석이조' 주민센터 신축법 눈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어진지 30년이 넘은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주민센터가 청년을 위한 행복주택(청년주택)과 동주민센터·자치회관 등이 들어서는 복합청사로 변신한다. 서대문구는 31일 “노후시설인 신촌동주민센터와 인근 공용 주차장 부지 등을 활용해 청년을 위한 공공임대 행복주택과 주민센터가 들어서는 복합청사를 짓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르면 2018년 상반기 완공 예정인 복합청사는 지하 2층, 지상 9층 규모(연면적 7480㎡, 약 2267평)로 한 건물에 주민센터와 주차장(23면), 행복주택(102세대)이 들어서는 구조다. 행복주택은 복합센터 3~9층에 위치한다.

서대문구, 주민센터에 행복주택 넣어 #신촌동 주민센터에 102가구 임대주택 #정부에겐 임대주택 부지 마련 효과

신촌동 주민센터는 지어진지 30년이 넘어 낡고 비좁은데다, 자치회관도 500m 가량 떨어져 있어 불편이 많았지만 예산 부담 때문에 신축이 미뤄져 왔다. 동주민센터 신축에는 평균 70억~80억원 가량의 비용이 든다. 오문식 서대문구 자치행정과장은 “복합청사는 158억원의 전체 건축비 중 30% 정도만 구청이 부담하고, 나머지는 서울주택도시공사가 부담해 구청은 비용도 아끼고 청년을 위한 행복주택도 지을 수 있어 일석이조다”고 말했다. 복합청사가 완료된 이후 동주민센터 등 공공시설(연면적 2590㎡)은 서대문구가, 행복주택(4890㎡)은 서울주택도시공사가 소유ㆍ관리한다.

지어진지 30년이 넘은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주민센터의 모습 [사진 서대문구]

지어진지 30년이 넘은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주민센터의 모습 [사진 서대문구]

동주민센터 같은 공공시설과 임대주택이 동시에 들어서는 개발방식은 주거난에 시달리는 청년 등을 위한 대안으로 부상 중이다. 지방자치단체로선 노후 시설 신축에 따른 비용을 아낄 수 있고, 중앙 정부는 임대주택을 짓는 데 필요한 토지를 비교적 손쉽게 구할 수 있어서다.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 등도 최근 2022년까지 노후공공청사를 복합개발해 총 2만호의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문석진 서대문구청장은 “주민 숙원인 낡은 동주민센터 신축과 서민주거 안정 기여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해 기쁘다”며 “다른 곳의 낡은 동주민센터에도 이런 개발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지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이수기 기자 retali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