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아베 총리와 23분간 통화 "북한,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내야"

중앙일보

입력

문재인 대통령이 7일 오후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의 통화에서 “북한 핵 미사일 문제는 결국 협상을 통해 평화적이고 외교적인 방법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중앙포토]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중앙포토]

문 대통령은 이날 아베 총리와 23분간 통화하면서 “한ㆍ일과 한ㆍ미ㆍ일이 북한의 완전한 핵폐기를 위한 대화의 장으로 북한을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협의해야 할 것으로 본다”며 이처럼 말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북한 핵 미사일 문제의 해결을 위해 최종적으로 대화를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 “다만 지금은 북한으로 하여금 이러한 대화에 응해 나오도록 압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다는데 인식을 같이 한 데 대해 평가한다”고 말했다.

 한ㆍ일 정상은 6일 새벽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만장일치로 채택된 대북 제재 결의 2371호에 대해서도 평가를 같이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두 정상은 이번 결의가 국제사회의 협력을 바탕으로 면밀히 이행돼 북한의 실질적인 태도 변화를 이끌어 내는 계기가 되도록 긴밀히 협력해나가기로 했다“며 ”한ㆍ일 양국이 긴밀히 협의하면서 국제사회와 협력하에 북한에 대한 최대한의 압박과 제재를 가해 북한으로 하여금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포기하는 올바른 선택을 하도록 유도해나가야한다는데 공감을 표했다“고 말했다.

두 정상은 북한의 추가 미사일 도발과 위협에 대해 한ㆍ일 양국과 한ㆍ미ㆍ일  3국의 공조 필요성에 대해 공감했다. 박 대변인은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최근 북한의 미사일 도발 직후 8월말로 예정된 한ㆍ미 연합훈련을 전후로 북한이 다시 도발할 가능성에 대비해 한ㆍ일간 협력 및 한ㆍ미ㆍ일 3국간 협력을 계속해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과 아베 총리의 정상 통화는 지난 5월 11일 취임 후 첫 전화통화에 이어 2번째다. 당시엔 25분간 통화를 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 이어 아베 총리와 통화를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일 이뤄진 아베 총리의 개각과 관련해 축하의 뜻을 전했다. 이에 아베 총리는 감사를 표하면서 ”새로 임명된 고노 다로(河野太郞) 외상과 한일관계 발전을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를 기대한다“고 답했다. 이어 아베 총리는 ”문 대통령의 지도력 하에 한ㆍ일간 협력 관계를 구축할 수 있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한다“며 ”셔틀 외교의 일원으로 조기에 일본을 방문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실무적으로 상호 편리한 시기를 조율해 나가자“며 ”9월 초에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개최되는 동방경제 포럼에서 만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날 통화에선 한ㆍ일 위안부 재협상과 관련한 언급은 없었다고 청와대 관계자가 전했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